당신은 주제를 찾고 있습니까 “라즈베리 파이 4 설치 – 라즈베리파이4 #2 || 새로워진 라즈베리파이 OS(라즈비안) 설치 방법“? 다음 카테고리의 웹사이트 kotop.abigaelelizabeth.com 에서 귀하의 모든 질문에 답변해 드립니다: 최근 254개 게시물. 바로 아래에서 답을 찾을 수 있습니다. 작성자 공대선배 이(가) 작성한 기사에는 조회수 41,181회 및 좋아요 297개 개의 좋아요가 있습니다. 사람들이 이 주제에 대해 검색하는 관련 키워드: 라즈베리 파이 4 설치 라즈베리파이 설치, 라즈베리파이 os 설치, 라즈비안 설치, 라즈베리파이 사용법, 라즈베리파이4 활용, 라즈베리파이4 모니터 연결, 라즈베리파이4 ssh, 라즈베리 파이 설치 시간
- <1> 라즈베리파이4 특징
- <2> 라즈베리파이4 이미지로 설치하기
- <3> 라즈베리파이 WIFI 되게 하기
- <4> 라즈베리파이에 ssh 서버 설치하기
- <5> pc에서 ssh서버 (라즈베리파이 4)로 접속하기.
- <6> 기타 프로그램 다운로드하여 설치하기
라즈베리 파이 4 설치 주제에 대한 동영상 보기
여기에서 이 주제에 대한 비디오를 시청하십시오. 주의 깊게 살펴보고 읽고 있는 내용에 대한 피드백을 제공하세요!
d여기에서 라즈베리파이4 #2 || 새로워진 라즈베리파이 OS(라즈비안) 설치 방법 – 라즈베리 파이 4 설치 주제에 대한 세부정보를 참조하세요
01:10 라즈베리파이 준비
02:06 rpi imager 설치
03:32 SD카드 포맷
04:32 라즈베리파이 OS 설치
06:10 와이파이 연결
공대선배 구독링크: https://www.youtube.com/channel/UCsiwB64NJe1JYFZ6iUeFQqA?sub_confirmation=1
안녕하세요 공대선배입니다!
라즈베리파이에서 사용하는 운영체제였던 라즈비안이 라즈베리파이 OS로 이름이 바뀌었습니다.
또한 설치방법이 이전과 비교해 매우매우 간단해졌습니다^^
이제는 Ether, SD formatter 없이 raspberry pi imager만으로 간편하게 포맷과 설치를 할 수 있습니다^^
#라즈베리파이 #라즈베리파이OS #라즈비안 #운영체제설치 #운영체제
주제와 관련된 이미지 라즈베리 파이 4 설치
주제와 관련된 더 많은 사진을 참조하십시오 라즈베리파이4 #2 || 새로워진 라즈베리파이 OS(라즈비안) 설치 방법. 댓글에서 더 많은 관련 이미지를 보거나 필요한 경우 더 많은 관련 기사를 볼 수 있습니다.

주제에 대한 기사 평가 라즈베리 파이 4 설치
- Author: 공대선배
- Views: 조회수 41,181회
- Likes: 좋아요 297개
- Date Published: 2020. 12. 4.
- Video Url link: https://www.youtube.com/watch?v=tenLLerqop8
라즈베리 파이 4 설치 주제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여기를 참조하세요.
라즈베리파이4 OS설치 (Raspberry Pi OS 설치) 최신 방법
우분투 GUI에 설정에서 지역 및 언어를 선택하고 설치된 언어 관리를 클릭합니다. 처음에 언어 지원이 완벽하게 설치되지 않았다는 안내창에 나오면 설치 …
Source: reddb.tistory.com
Date Published: 8/3/2022
View: 9336
라즈베리파이 4 Model B 라즈비안 설치하기 (Raspbian)
라즈베리파이 4 Model B 라즈비안 설치하기 (Raspbian) · 1. 라즈베리파이 & SD카드 준비 · 2. SD카드 포맷 및 운영체제 설치 · 3. 라즈베리파이에 SD카드 …
Source: zifmfmphantom.tistory.com
Date Published: 2/5/2022
View: 5288
라즈베리파이 4 Raspbian OS설치하기 – 남보공방
라즈베리파이 4 에는 Windows 10 OS 또는 안드로이드 OS도 설치할 수 있고, 실제로 자신에게 익숙한 이런 OS를 설치하여 사용하기도 한다.
Source: makernambo.com
Date Published: 12/30/2021
View: 320
Raspberry Pi 4 처음 사용하기 – 멈춤보단 천천히라도
1-1. Raspberry Pi OS를 Micro SD 카드에 설치하기 위해 사용할 프로그램을 다운로드하여 설치합니다. 윈도우, 맥, 리눅스 용을 다운로드 받을 수 …
Source: webnautes.tistory.com
Date Published: 10/8/2022
View: 6074
[Raspberry Pi 4] OS 설치 – 코드 몽키의 허둥지둥 개발공부
설치 후 실행시 다음과 같은 화면을 확인할 수 있다. Raspberry Pi Imager. Operating System: 설치할 라즈베리 파이 이미지를 선택한다. Storage: …
Source: ingnoh.tistory.com
Date Published: 6/25/2021
View: 5027
모니터 없이 Raspberry Pi 4 OS 설치 – Frank’s Blog
모니터 없이 Raspberry Pi 4 OS 설치. June 19, 2021. 1. 들어가며. 회사에서 좋은 동료로부터 라즈베리파이4를 선물로 얻게 되어 당분간 나의 개인 Toy로 사용할 수 …
Source: blog.advenoh.pe.kr
Date Published: 3/6/2021
View: 6663
Raspberry Pi OS
This is it. Raspberry Pi OS (previously called Raspbian) is our official supported operating system. Install Raspberry Pi OS using Raspberry Pi Imager.
Source: www.raspberrypi.com
Date Published: 12/17/2021
View: 1866
설치는 어떻게? 라즈베리 파이, 파이 OS 설치 방법 2가지! (+ …
* 라즈베리 파이(Raspberry Pi) – 라즈베리 파이 3, 3B, 3B+, 4… * SD 카드 (전체 설치에 16GB 필요, 속도는 최소 클래스 4 이상을 추천!) * 컴퓨터. * …
Source: sergeswin.com
Date Published: 9/6/2021
View: 7067
5.(시작) 라즈베리파이4 설치 하기
<1> 라즈베리파이4 특징
<2> 라즈베리파이 4 이미지로 설치하기
<3> 라즈베리파이 WIFI 되게 하기
<4> 라즈베리파이에 ssh 서버 설치하기
<5> pc에서 ssh서버 (라즈베리파이 4)로 접속하기.
<6> 기타 프로그램 다운로드하여 설치하기
<1> 라즈베리파이 4 특징
라즈베리파이는 IOT 장비로 서버의 기능까지 제공한다.
최소 비용으로 서버를 구매하는 것이며, 여러 가지 개발을 할 수 있는 최고의 장비이다.
라즈베리파이 4 특징
전원이 USB-C타입으로 바뀜 , 4K 지원함.
HDMI 2개 화면이 지원됨. 케이블 Micro-hdmi로 바뀜.
2G 메모리와 4G 메모리 서버가 있다. 2G로도 충분.
1G 네트워크. WIFI 지원함.
라즈베리파이 3과 전원, 모니터 케이블 등 호환 안된다.
새로 사야 한다.
세트 가격 72불 = 약 9만 원.
플라스틱 박스 상자까지 포함된 금액이다.
플라스틱 박스 있는 거로 사자.
세트로 새로 사야 한다!!!
USB 포트와 1G 이더넷 포트.
CPU와 메모리.
뒷면에 MICRO SD카드가 들어가는 곳.
OS 설치 후 카드 넣는 곳.
전원 케이블이 USB-C타입으로 바뀌었다.
모니터 케이블도 Micro SD로 바뀌었다.
HDMI 포트가 2개 지원한다.
모니터 2개 연결 가능 ^^
모니터 연결
키보드 연결
마우스 연결
기본 16G MicroSD 카드를 제공한다.
<2> 라즈베리파이 4 이미지로 설치하기
1. SD카드 포맷 후 진행
2. img파일을 다운로드
파일 다운로드 2시간 걸린다.
3. SD에 이미지 Write 하는데 20분 걸린다.
이미지 넣는 프로그램 다운 로드 : https://softfamous.com/win32-disk-imager/
or
다른 프로그램 https://www.balena.io/etcher/
4. 기타 설치법
라즈베리파이 4 noobs 다운로드하여 설치하는 법
1) NOOBS(New Out Of the Box Software)
2) noobs OS다운로드 (3시간 걸림)
3) 압축을 풀고 SD에 OS를 복사함.
4) 라즈베리파이 4에 SD카드 장착한다.
5) 설치하기
전원은 연결해 부팅해서 설치한다. (1시간은 걸린다)
혹, 부팅이 안되면 SD카드 재 포맷 후 진행
English로 설치
Root Password 설정 요청 : qwe123으로 한다.
Success! 나오면 다 설치된 것이다.
$ passwd
:
: 새로운 암호 설정
: 새로운 암호 설정
$ sudo su –
#
<3> 라즈베리파이 WIFI 되게 하기
화면 오른쪽 위에 WIFI에서 WIFI 연결한다.
ping 1.1.1.1 해서 외부로 ping이 되는지 확인한다.
<4> 라즈베리파이에 ssh 서버 설치하기.
1. Vnc와 ssh 쉽게 설정하는 법.
모니터 없이 원격에서 접속할 수 있도록 한다.
2. 별도로 소스로 ssh 설치하는 법 .
# tar zxvf openssh-8.0p1.tar.gz
cd openssh-8.0p1
./configure ; make ; make install
/usr/local/sbin/sshd
ps -ef |grep sshd
sshd 데몬이?로 떠 있어야 한다.
ssh로 접속할 계정 생성하기
useradd test 112
passwd test 112
ifconfig
<5> pc에서 ssh서버 (라즈베리파이 4)로 접속하기.
putty 실행
<6> 기타 프로그램 다운로드하여 설치하기
wget으로 받아 설치한다.
참고사이트
감사합니다.
라즈베리파이4 OS설치 (Raspberry Pi OS 설치) 최신 방법
라즈베리파이4 OS설치 (Raspberry Pi OS 설치) 최신 방법
라즈베리파이 홈페이지에서 제공하는 라즈베리파이 imager의 버전이 올라감에 따라 이전 포스팅때는 없던 편의기능( OS를 굽기전에 SSH켜기 및 Wifi 설정 )이 생겨 그 기능을 활용하여 라즈베리파이 OS를 설치하는 포스팅을 다시 올립니다.
먼저 윈도우에서 저장장치를 포맷합니다.
저용량인 경우 FAT32로 포맷을 하시고, 고용량인 exFAT으로 포맷을 하시기 바랍니다.
(이 방법 외에도 아래에서 Imager를 이용한 포맷방법도 설명하겠습니다.)
포맷
다음은 라즈베리파이 홈페이지에서 Windows용 Raspberry PI imager를 다운 받습니다.
https://downloads.raspberrypi.org/imager/imager_latest.exe
Imager 다운받기
다음은 라즈베리파이 OS를 다운받습니다.
저는 데스크탑 및 권장 S/W가 포함된 21년 5월 7일자 이미지를 다운받았습니다.
라즈베리파이 OS
다운받은 라즈베리파이 Imager를 설치 및 실행해 줍니다.
Imager가 실행되면 OS 선택을 클릭하고 Erase를 선택합니다.
(처음 위에서 포맷을 안하신 분들은 이 방법으로 포맷하시기 바랍니다)
그리고 저장장치를 선택하시고 쓰기(굽기)를 시작합니다.
포맷이 완료 됐다면 첫번째 OS 선택버튼을 클릭하시고 최하단에 Use custom을 선택합니다.
그리고 다운받은 라즈베리파이 OS를 압축을 풀고 선택합니다.
(현재 최신버전은 21-05-07 buster armhf(32bit) 입니다)
다음은 Imager에서 새롭게 추가된 기능을 사용해 보겠습니다. (이것때문에 포스팅을 다시하고 있습니다)
스토리지를 선택하기전에 컨트롤+시프트+X를 누르시면 어드벤시드 옵션 항목이 나옵니다.
컨트롤 + 시프트 + X
옵션항목 중 Enable SSH를 체크하시고 비밀번호를 변경하시기 바랍니다.
Configure wifi도 체크하시고 SSID에는 와이파이 이름을, 그 아래에는 비밀번호를 넣으시고 저장합니다.
SSH와 Wifi 설정
이제 스토리지를 선택하고 쓰기(굽기)를 진행합니다.
굽는 퍼센트가 나오는데 다 굽고 나면, 제대로 쓰기가 됐는지 확인하는 퍼센트가 또 나옵니다.
쓰기가 모두 끝났다면 저장장치를 제거 후 라즈베리파이에 삽입하고 전원을 인가해줍니다.
참고로 저는 USB에 쓰기를 했는데 라즈베리파이를 USB로 OS 부팅하는 방법은 이전 포스팅을 참조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아래 링크 클릭)
https://reddb.tistory.com/187
제대로 부팅이 됐다면 wifi접속까지 완료되어 있는 상태일 겁니다.
집에서 사용중인 공유기에서 IP활당내역을 조회하시면 몇번 아이피로 활당 되었는지 알 수 있습니다.
(저는 iptime을 사용중인데, 고급설정-네트워크관리-내부 네트워크 설정에서 확인 했습니다)
OS를 구울때 SSH도 함께 실행하도록 설정했기에 위에서 알아낸 아이피와 22번 포트(SSH포트)로 콘솔접속을 합니다. (접속 시 경고창이 뜨면 예를 클릭하세요)
저는 putty 사용자여서 putty로 붙어보겠습니다. putty 다운이 필요하시면 아래 링크로 가서 받으시기 바랍니다.
https://www.chiark.greenend.org.uk/~sgtatham/putty/latest.html
SSH 초기 접속 아이디/패스워드는 pi/OS구울때 설정한 비밀번호 입니다.
다음은 VNC를 켜주도록 하겠습니다. 콘솔창에서 아래 명령어를 입력합니다.
sudo raspi-config
Interface Options -> VNC -> 예 -> 확인 순서로 선택을 합니다.
다음은 Display Option -> Resolution -> DMT Mode 35 1280×1024 -> 확인 순서로 선택합니다.
다음은 REALVNC Viewer를 다운받아야 합니다. 아래 사이트에서 Viewer를 다운 받고 설치 실행합니다.
(참고로 다운버튼 하단에 드롭박스에서 스탠드어론 exe로 다운받으시면 설치 없이 실행이 됩니다)
VNC Viewer를 실행하시고 File -> New connection…을 선택합니다.
VNC Server란에는 위에서 알게된 라즈베리파이 IP주소를 넣어주시고, Name에는 접속 아이콘 이름으로 정하고 싶은 단어를 넣고 OK를 클릭합니다.
새롭게 만들어진 아이콘을 더블클릭하면 접속이 진행됩니다. Identity Check에서 컨티뉴를 클릭하세요.
계정과 패스워드를 묻는데 입력하시고 저장하기까지 체크 후 OK를 클릭해줍니다.
이제 라즈베리파이 GUI에서 원하시는 세팅을 하시면됩니다.
라즈베리파이 4 Model B 라즈비안 설치하기 (Raspbian)
라즈베리파이(Raspberry Pi)를 사용하여 센서 장비를 다루는 학습을 하고 있습니다.
라즈베리파이 자체에는 운영체제가 없기 때문에 SD카드에 운영체제를 설치하여 결합해야 합니다.
지금부터 라즈베리파이 운영체제 설치 과정을 기록하겠습니다.
운영체제를 설치하는 과정은 다음과 같습니다.
1. 라즈베리파이 & SD카드 준비
2. SD카드 포맷 및 운영체제 설치
3. 라즈베리파이에 SD카드 결합 및 부팅
1. 라즈베리파이 & SD카드 준비
“라즈베리파이 4 Model B 8GB”로 진행하였습니다.
SD카드는 32GB 이상이면 충분하다고 합니다.
방열판은 라즈베리파이가 고온에 의해 오작동이나 결함이 발생하는 문제를 없애기 위해 필요합니다.
SD카드는 PC와 연결하여 포맷 작업 및 운영체제 설치를 진행해야 하므로 리더기가 필요합니다.
저는 다이소에서 2,000원 주고 샀습니다 🙂
2. SD카드 포맷 및 운영체제 설치
SD카드를 포맷하여 깨끗한 상태로 만든 다음 운영체제 설치를 진행합니다.
sdcard.org에서는 SD카드 포맷 툴을 제공하고 있습니다. 아래 링크를 활용하세요.
www.sdcard.org/downloads/formatter/sd-memory-card-formatter-for-windows-download/
sdcard.org
Accept 클릭
링크로 올린 페이지의 맨 아래로 스크롤하면 위 그림처럼 “Decline, Accept” 버튼을 보실 수 있습니다.
Accept 버튼을 클릭하면 하단에 다운로드가 진행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설치 이후에 프로그램(SD Card Formatter)을 실행하면 다음과 같이 나타납니다.
SD Card Formatter
Select card에 포맷하고자 하는 SD카드를 선택합니다.
Card information은 선택한 메모리의 정보를 표시합니다.
32GB SD카드의 경우에는 Type이 “SDHC”로 되어있을 것입니다. SD 고용량(High Capacity)의 의미입니다.
제가 사용한 SD카드는 64GB이며 “SDXC”로 되어 있습니다. SD 초고용량(eXtended Capacity)의 의미입니다.
Formatting options는 “Overwrite format”으로 지정하였습니다.
Quick format보다는 오래 걸리지만 완벽한 포맷 작업이 이루어집니다.
Volume label에는 포맷한 메모리의 이름을 지어주는 것입니다.
라즈베리파이 운영체제로 사용할 것이기 때문에 이름을 “RaspberryPi”라고 했습니다.
포맷 전 주의사항
Format 버튼을 누르면 주의사항이 나타납니다.
card에 있는 모든 데이터가 삭제되며
overwrite option이어서 시간이 좀 걸리니까 전원을 연결해두고 절전모드를 해제하라는 내용입니다.
예를 눌러서 포맷 작업이 진행되면 20~40분 정도 걸리는 것 같습니다.
작업시켜놓은 다음에 김밥 먹으면서 30분 정도 되는 드라마 보니까 거의 끝나갔었습니다.
포맷 완료
포맷 작업이 완료되었다는 안내가 나왔습니다.
SD Card Formatter 프로그램을 종료하시면 됩니다.
이제 SD카드에 라즈베리파이 운영체제를 설치하도록 하겠습니다.
라즈베리파이의 운영체제는 라즈비안(Raspbian)입니다.
운영체제는 라즈베리파이 공식 페이지 (www.raspberrypi.org/)에서 다운로드할 수 있습니다.
공식 페이지에서는 라즈비안을 쉽게 설치할 수 있도록 “Raspberry Pi Imager” 프로그램을 제공합니다.
본 글에서는 Imager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OS를 설치하였습니다.
www.raspberrypi.org/software/
Raspberry Pi Imager 선택 Download for Windows 선택
프로그램 설치 후 실행하면 다음과 같은 화면이 나타납니다.
Raspberry Pi Imager 화면
CHOOSE STORAGE는 설치 대상 메모리를 선택하는 것입니다.
나타나는 메모리 중 라즈비안을 설치할 메모리를 선택합니다.
CHOOSE STORAGE 화면
CHOOSE OS는 설치할 운영체제를 선택합니다.
첫 화면으로 “Raspberry Pi OS (32-bit)”가 존재합니다.
하지만, 본 글에서는 “Raspberry Pi OS (other)”을 선택하였습니다.
사용자의 기호에 맞게 선택하셔서 진행하시면 됩니다.
Raspberry PI OS (other) 선택
Raspberry Pi OS Full (32-bit) 선택
선택이 모두 완료되면 “WRITE”가 활성화됩니다.
선택하여 운영체제 설치를 진행합니다!!
WRITE 선택
운영체제 설치 완료
설치가 모두 완료되면 “CONTINUE”를 선택한 다음 프로그램을 종료합니다.
이제 안전하게 제거한 다음 라즈베리파이에 결합하여 부팅하면 됩니다.
3. 라즈베리파이에 SD카드 결합 및 부팅
라즈베리파이 후면을 보면 SD카드를 결합할 수 있습니다.
결합 후 전원을 연결하여 부팅을 시도합니다.
정상 작동
OS 설치 과정까지 마무리되었습니다.
원활한 작동을 위해서 네트워크에 연결한 다음 업데이트를 받으면 되겠습니다.
이상 글을 마치겠습니다. 감사합니다.
– 끝 –
라즈베리파이 4 Raspbian OS설치하기 :: 남보공방
라즈베리파이 4 에는 Windows 10 OS 또는 안드로이드 OS도 설치할 수 있고, 실제로 자신에게 익숙한 이런 OS를 설치하여 사용하기도 한다. 그러나 가장 안정적이고 효율적인 것은 라즈베리파이 재단에서 공식적으로 지원하는 리눅스 기반 Raspberry PI OS인 Raspbian을 설치하여 사용하는 것이다.
예전에는 이 라즈베리파이 전용 Raspbian을 설치하는 과정이 상당히 복잡했었는데, 최근에는 아주 간단하고 편리하게 설치작업할 수 있도록 Raspberry pi Imager라는 툴이 지원되고 있다. 즉 자기 PC에 Raspberry PI OS용 SD카드를 제작하는 툴을 설치해 놓고 필요할 때마다 즉시 제작할 수 있도록 지원된다.
1. 사전 준비
– Raspberry PI OS를 설치 할 마이크로 SD카드 : 8 GB 구형 SD 카드도 가능하지만, OS용으로 사용할 것이므로 되도록이면 16GB이상으로 속도가 빠른 최신형을 사용하는 것이 좋다.
– Raspberry pi Imager 설치 프로그램 다운로드 : 다음 사이트에 접속하여 설치 프로그램을 다운로드 받는다. ( I nternet Exploror에서는 이 사이트가 정상적으로 표시되지 않으므로 엦지 또는 크롬 등 다른 웹브라우저로 접속해야 한다)
위 사이트에는 다음과 같이 PC의 종류별로 Raspberry pi Imager를 설치할 수 있는 프로그램을 다운로드 받을 수 있다.
2. Raspberry pi Imager 설치
다운로드받은 Raspberry pi Imager 설치 프로그램을 기동시키면 다음과 같은 과정을 거쳐 PC에 Raspberry pi Imager 프로그램이 설치된다.
3. Raspberry pi Imager로 Raspberry PI OS용 마이크로 SD카드 만들기
PC에 설치된 Raspberry pi Imager프로그램을 기동시키면 다음과 같은 화면이 표시된다.
여기에서 설치할 OS 종류를 선택하기 위해 CHOOSSE OS 버튼을 클릭한다.
일반적인 표준형으로 설치하려면 최상단의 Raspberry PI OS (32bit) 를 선택하면 아래와 같이 선텍된 OS가 표시된다.
만약 표준형 OS가 아닌 다른 모델을 선택하려면 다음과 같이 두번째 메뉴인 Raspberry PI OS (other)를 선택한다.
Raspberry PI OS (other)를 선택하면 크기를 줄인 Lite 버전 또는 표준형에 각종 추천 Application들을 포함한 Full버전을 선택할 수도 있다.
OS 종유를 선택한 후에는 설치할 SD 카드 Drive를 선택한다.
CHOOSE SD CARD 버튼을 클릭하면 다음과 같이 PC에 드라이브 목록이 표시되는데 이 중에서 SD 카드가 장착된 드라이브를 선택한다.
SD카드가 장작된 드라이브가 선택되면 이 드라이브 명칭이 표시되고 WRITE 버튼이 활성화 된다.
이것으로 설치작업 할 준비는 끝나고 WRITE 버튼을 누르면 OS설치 작업이 개시된다.
위와 같이 경고메세지가 표시되고 확인하면 다음과 같이 Raspberry PI OS용 SD 제작작업이 시작된다.
이 작업은 시간이 상당히 소요되는데, SD카드의 Writing 속도나 PC속도에 따라 다르지만 대략 10여 분의 시간이 소요된다.
이로서 장착된 SD카드에는 Raspberry PI OS가 설치 완료 었으므로 이 SD카드를 Raspberry 기기의 슬롯에 꼽기만 하면 라즈베리파이가 기동된다.
Raspberry Pi 4 처음 사용하기
라즈베리 파이를 처음 사용하기 위해 해줘야 하는 것들을 다루고 있습니다.
Raspberry Pi 4를 사용하여 진행했습니다.
1. Micro SD 카드에 라즈비안 이미지 라이팅(writing)
2. SSH 활성화
3. 라즈베리파이 사용하는 방법
4. 라즈베리파이에 할당된 IP 확인
5. SSH 클라이언트 사용하여 라즈베리파이에 접속
6. 처음 사용할 때 필요한 라즈비안 설정( raspi-config)
7. 관련 포스팅
7.1. Raspberry Pi 4 무선랜(WiFi) 설정 방법
7.2. Raspberry Pi 4를 VNC로 접속하여 원격 제어하는 방법
2016. 04. 10 최초작성
2020. 08. 22 바뀐 설치 방법 적용
2020. 11. 22
2021. 02. 03 Raspberry Pi 4로 진행
2021. 11. 20
2022. 02. 05 64비트 정식 지원 버전 사용
1. Micro SD 카드에 데비안 이미지 라이팅(writing)
1-1. Raspberry Pi OS를 Micro SD 카드에 설치하기 위해 사용할 프로그램을 다운로드하여 설치합니다.
윈도우, 맥, 리눅스 용을 다운로드 받을 수 있습니다.
https://www.raspberrypi.org/software/
본 포스트에서는 윈도우용을 설치하여 진행합니다.
MicroSD 카드를 PC에 연결해둡니다.
PC에 인터넷이 연결된 상태에서 진행해야 합니다.
1-2. 설치 완료 후, Raspberry Pi Imager를 실행되게 하거나 윈도우 키를 누르고 raspberry를 입력하여 Raspberry Pi Imager를 실행합니다.
1-3. CHOOSE OS를 클릭하고
Raspberry Pi OS (other)를 선택합니다.
Raspberry Pi OS (64-bit)를 선택합니다.
CHOOSE STORAGE를 클릭하고
Micro SD카드를 선택해줍니다.
오른쪽 아래에 보이는 톱니바퀴 모양 아이콘을 클릭합니다.
Raspberry Pi imager가 업데이트 되면서 추가 설정을 할 수 있게 되었습니다.
상단에 보이는 콤보박스를 to always use로 바꾸면 지금 설정하는 설정이 계속 저장됩니다.
Enable SSH를 체크하고 사용하기 쉬운 Use password authentication을 선택합니다.
아이디와 패스워드를 변경할 수 있습니다. 기존에는 사용자 아이디의 디폴트 값이 pi였습니다.
WIFI를 설정할 수 있습니다.
Locale를 설정합니다. 이제 설정이 완료되었으니 SAVE 버튼을 클릭합니다.
WRITE를 클릭합니다.
YES를 클릭합니다.
Raspberry Pi OS가 Micro SD카드에 설치되기 시작합니다.
완료되었습니다.
다음과 같은 창이 보일 수 있는데 취소를 클릭하여 무시하세요
2. SSH 활성화
Raspberry Pi Imager가 1.7.1로 업데이트되면서 ssh 작업을 위한 아래 작업들이 필요 없어졌지만 남겨둡니다.
2-1. 2016년 11월 25일 이후, 릴리즈된 라즈비안(현재는 Raspberry Pi OS로 이름이 변경)은 보안상 이유로 디폴트로 SSH가 비활성화 되어 있습니다.
라즈베리파이에 모니터를 연결해서 해도 되지만 PC에서 간단하게 활성화 시킬 수 있는 방법이 있습니다.
Micro SD 카드를 PC에서 뺐다가 다시 연결하세요.
그러면 이름이 boot인 드라이브가 보입니다.
다음과 메시지 박스는 취소를 클릭하세요.
2-2. 아래 화면처럼 cmdline과 config 텍스트 파일의 확장자가 안보인다면 폴더 설정을 변경해야 합니다.
2-3. 보기 탭의 파일 확장명을 체크하면 comline.txt와 config.txt로 확장자가 보이게 됩니다.
2-4. 파일 목록 빈공간에서 마우스 우클릭하여 보이는 메뉴에서 새로 만들기 > 텍스트 문서를 선택합니다.
새 텍스트 문서.txt 이름의 텍스트 파일이 생성됩니다.
파란색으로 블럭된 상태에서 Delete 키를 눌러 이름을 지우고 ssh라 입력하고 엔터를 입력합니다.
새 텍스트 문서.txt 이름을 한번 클릭하고 F2키를 눌러도 파란색 블록된 상태로 됩니다.
ssh 파일이 생성되면 이제 라즈베리파이로 ssh 접속이 활성화 됩니다.
마이크로 SD카드를 PC에서 제거하기 전에 USB 메모리를 뺄 때하듯이 안전한 제거를 클릭한 후 해주세요.
ssh 파일이 실제로 마이크로 SD카드에 기록되지 않아서 나중에 SSH 연결시 문제가 생길 수 있습니다.
다시 Micro SD카드를 연결하여 ssh 파일이 생성된 것을 확인한 후, 라즈베리파이에 연결하세요.
MicroSD 카드 인식에 문제가 있는 경우 SD Memory Card Formatter를 사용하여 포맷한 후 진행해보세요.
3. 라즈베리 파이 사용하는 방법
라즈베리파이를 사용하는 방법은 2가지입니다.
라즈베리파이에 모니터, 키보드, 마우스를 연결하여 컴퓨터처럼 사용
컴퓨터에서 라즈베리파이에 SSH 터미널 혹은 VNC 접속하여 사용
여기에서는 두 번째 방법을 설명합니다.
컴퓨터와 라즈베리파이가 같은 네트워크(공유기)에 연결되어 있어야 합니다.
라즈베리파이에 Micro SD 카드를 연결하고 전원공급을 위한 USB 케이블과 랜선을 연결하면 준비가 완료됩니다.
WIFI 설정을 했더라도 랜선을 연결해서 먼저 테스트 해보는게 좋을 듯합니다.
4. 라즈베리파이에 할당된 IP 확인
모니터를 연결하거나 공유기의 설정 페이지에서 확인할 수도 있으나 여기에서는 nmap을 사용하는 방법을 소개합니다.
1. 아래 링크에서 Microsoft Windows binaries 항목에 있는 Latest stable release self-installer를 다운로드 받아 설치합니다.
https://nmap.org/download.html
2. Window 키 + R을 누른 후, cmd를 입력하여 명령 프롬프트를 실행합니다.
3. ipconfig 명령으로 PC의 IP 주소를 확인합니다. 여러개가 보일 경우 IPv4 주소가 있는 것을 찾으세요.
VirtualBox에서 사용하는 192.168.56.1는 제외하세요.
4. 찾은 IP 주소의 4번째 자리를 0으로 하여 다음처럼 명령을 실행합니다.
라즈베리파이가 잡히지 않는 경우 아래 스크린샷처럼 여러 번 시도해볼 필요가 있습니다.
nmap -sn 192.168.25.0/24
다음처럼 Raspberry Pi가 보이기 전에 있는 IP 주소를 복사해두세요.
우분투 리눅스에서 같은 네트워크에 연결된 라즈베리파이의 아이피를 알아내어 SSH로 접속하는 과정을 다음 포스팅에 설명해놓았습니다.
Ubuntu Linux – 네트워크 상에서 사용중인 IP 조회하기
http://webnautes.tistory.com/1072
5. SSH 클라이언트 사용하여 라즈베리파이에 접속
SSH를 지원하는 윈도우용 터미널 프로그램 중 MobaXterm이 괜찮은 듯 싶습니다.
많은 기능을 포함하고 있으며 PuTTY에 비해 유저 인터페이스가 잘되어 있습니다.
MobaXterm을 사용하여 라즈베리파이에 SSH 접속하는 방법을 설명합니다.
http://mobaxterm.mobatek.net/download-home-edition.html 에서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새로운 연결을 추가하기 위해 툴바 왼쪽에 위치한 Session을 클릭합니다.
연결할 타입으로 왼쪽 위에 있는 SSH를 클릭하고 Remote host에 앞에서 확인한 Raspberry Pi 아이피를 적어줍니다.
Specify username을 체크하고 사용자 이름을 적어줍니다. 디폴트 값은 pi이지만 Raspberry Pi Imager가 1.7.1로 업데이트되면서 변경할 수 있습니다.
OK 버튼을 클릭하면 Raspberry Pi로 SSH 접속이 됩니다.
터미널에서 패스워드를 물어봅니다.
패스워드를 입력하고 엔터를 누르면, 패스워드를 저장할지 물어보는 메시지 박스가 보여집니다.
Yes를 클릭하면 접속할 때 마다 패스워드를 입력할 필요가 없습니다.
접속 완료 후, 접속관련 정보를 보여주고 나서 Raspberry Pi의 접속 메시지를 보여줍니다.
왼쪽에는 Raspberry Pi의 디렉토리와 파일을 보여줍니다.
윈도우 탐색기처럼 파일 및 디렉토리를 다룰 수 있으며, 동영상이나 이미지, 텍스트 파일 등을 윈도우 설치된 프로그램으로 연결하여 볼 수 있게 해줍니다.
한번 입력한 접속 정보는 자동으로 저장되며 Sessions 탭에서 클릭시 접속이 이루어집니다.
6. 처음 사용할 때 필요한 라즈비안 설정(raspi-config)
Raspberry Pi 4 400으로 진행해보며 차이나는 부분만 추가했습니다.
1. 처음 사용할 때 라즈베리파이 설정 도구 raspi-config를 실행하여 설정해야 하는 항목들을 설명합니다.
System Options를 선택합니다.
화살표키로 이동하고 엔터로 선택하면 됩니다.
Password 항목 에서 패스워드를 변경할 수 있습니다.
엔터를 누릅니다.
새로운 패스워드를 입력하고 엔터를 누릅니다. 똑같은 패스워드를 두 번 입력해야 합니다.
패스워드가 변경되었습니다. 엔터를 누릅니다.
Localisation Options에서 시간대를 변경할 수 있습니다. 앞에서 진행했다면 해줄 필요가 없습니다.
변경해줘야 라즈베리파이에서 올바른 시간이 보입니다.
Timezone을 선택합니다.
Asia를 선택합니다.
빨리 찾기 위해 s를 한번 누르고 Seoul를 선택합니다.
시간대가 Asia/Seoul로 변경됩니다.
외부 장치와의 연결을 설정하기 하려면 Interfacing Options을 선택합니다.
Camera, SPI, I2C, Serial, 1-Wire등을 사용시 해당 항목을 선택하여 활성화시키면 됩니다.
지금은 해줄 필요가 없습니다.
Micro SD 카드 전체 공간을 사용하기 위한 설정을 하기 위해 Advanced Options을 선택합니다.
Micro SD 카드 전체 공간을 사용하기 위해 Expand Filesystem을 선택합니다.
안해주면 Micro SD 카드 전체 공간을 다 사용할 수 없습니다.
특정 크기 파티션으로 구성된 이미지 파일을 가지고 Micro SD 카드에 라이팅했기 떄문입니다.
엔터를 누릅니다. 라즈베리파이가 재부팅되야 변경된 파티션 크기가 적용됩니다.
이제 초기화면에서 Finish를 선택합니다.
Yes를 선택하면 SSH 연결이 끊어지게 됩니다.
라즈베리파이가 부팅이 완료될 때까지 기다렸다가 다시 접속하면 됩니다.
재부팅 완료까지 걸리는 시간이 약 15초 정도인듯합니다.
이제 라즈베리 파이를 사용할 준비가 다 되었습니다…
7. 관련 포스팅
7.1. Raspberry Pi 4 무선랜(WiFi) 설정 방법
Raspberry Pi 4에 내장된 무선랜(WiFi)를 사용하기 위해 필요한 설정 방법에 대해서 다룹니다.
http://webnautes.tistory.com/903
7.2. Raspberry Pi 4를 VNC로 접속하여 원격 제어하는 방법
데스크톱 환경(GUI)으로 Raspberry Pi 4에 원격 접속하시려면 다음 포스팅을 참고하세요..
http://webnautes.tistory.com/549
[Raspberry Pi 4] OS 설치
[macOS/맥OS] 맥북으로 라즈베리파이에 OS 설치하기 [MacOS/맥OS] 맥북으로 라즈베리파이에 OS 설치하기 💡참고로 라즈비안 OS에서 라즈베리파이 OS로 이름이 변경되었다고 한다. 💡맥(MacOS) / 라즈베리파이4 기준 1. 아래 링크에서 Raspberry Pi OS with dyeleepark.tistory.com
Raspberry Pi OS – Raspberry Pi
Install Raspberry Pi OS using Raspberry Pi Imager
Raspberry Pi Imager is the quick and easy way to install Raspberry Pi OS and other operating systems to a microSD card, ready to use with your Raspberry Pi. Watch our 45-second video to learn how to install an operating system using Raspberry Pi Imager.
Download and install Raspberry Pi Imager to a computer with an SD card reader. Put the SD card you’ll use with your Raspberry Pi into the reader and run Raspberry Pi Imager.
설치는 어떻게? 라즈베리 파이, 파이 OS 설치 방법 2가지! (+모니터, 키보드 없이 사용하려면?)
2019년도까지 라즈비안(Raspbian)이라 불렸던 라즈베리 파이 OS(Raspberry Pi OS)는 데비안(Debian) 리눅스가 바탕입니다. 손바닥 크기의 미니 컴퓨터인 라즈베리 파이(Raspberry Pi) 파이에서 쾌적하게 실행되도록 최적화되어 있고요. 꼭 필요한 유용한 프로그램이 모두 ‘기본 프로그램’인 점이 마음에 듭니다. 라즈베리 파이를 처음 사용하신다면 ‘라즈베리 파이 OS’부터 설치해보시길 추천드리고 싶은데요.
라즈베리 파이 OS(Raspberry Pi OS) 설치는 기존에도 쉬운 편이었지만, 작년인 2020년에 ‘라즈베리 파이 이미저(Raspberry Pi Imager)’라는 프로그램이 나오면서 훨씬 더 쉬워졌습니다. 아래에서 라즈베리 파이에 ‘라즈베리 파이 OS’ 설치하는 방법을 차근차근 살펴보겠습니다.
아래에 나온 방법대로 진행하려면 파이에 모니터와 키보드, 마우스를 연결해야 합니다. 파이에 모니터, 키보드, 마우스를 연결하지 않고도 설정을 진행하려면, 파이의 전원을 켜는 즉시 Wi-Fi에 연결하고 원격 접속을 허용하도록 구성해줘야 하는데요. 라즈베리 파이를 ‘모니터나 키보드 없이’ 사용하는 방법도 글 후반부에서 보너스로 살펴보겠습니다!
라즈베리 파이 OS 설치 방법 준비물은?
SD 카드에 라즈베리 파이 OS를 설치하려면 아래와 같은 준비물이 필요합니다!
* 라즈베리 파이(Raspberry Pi) – 라즈베리 파이 3, 3B, 3B+, 4… * SD 카드 (전체 설치에 16GB 필요, 속도는 최소 클래스 4 이상을 추천!) * 컴퓨터 * SD 카드 리더기 * 5V 전원 어댑터 * 모니터 * HDMI 케이블 * 키보드, 마우스 (글 후반부에 보너스로 소개할 ‘라즈베리 파이 모니터/키보드 없이 사용하는 방법’을 적용하실 계획이라면 없어도 괜찮습니다!)
라즈베리 파이 OS 설치 방법 ‘이미저’ 사용 방법
라즈베리 파이 이미저(Raspberry Pi Imager)가 나오기 전까지만 해도 라즈베리 파이 OS(Raspberry Pi OS)를 SD 카드에 설치하려면, 공식 사이트에서 ‘파이 OS 이미지’를 다운로드한 다음에 ‘발리나 에처(balenaEtcher)’와 같은 프로그램을 사용해야 했습니다.
‘파이 이미저’는 이 두 단계를 하나로 결합한 프로그램입니다. 파이 OS 이미지를 따로 다운로드 받을 필요 없이 이 프로그램만 실행하면 ‘OS 다운로드’와 ‘SD 카드 설치’를 한 번에 진행할 수 있어 편합니다. 선택한 운영 체제의 최신 버전을 자동으로 다운로드하여 SD 카드에 설치해줍니다.
파이 이미저는 단순히 ‘OS 다운로드’ 기능만 결합하지 않고 세심한 부분까지 신경을 써서 더욱 높은 점수를 주고 싶은데요. 특정 운영 체제를 이전에 SD 카드에 설치한 적이 있다면, 다른 SD 카드에 설치할 때는 파일을 다시 다운로드하지 않고 기존에 다운로드 해둔 파일을 그냥 사용합니다. 덕분에 여러 SD 카드에 설치하거나 기존 SD 카드에 재설치할 때 시간을 많이 아낄 수 있어 좋습니다.
파이 이미저는 ‘SD 카드 FAT32 포맷’ 기능과 더불어 라즈베리 파이 4(Raspberry Pi 4)에 부팅 문제가 생길 때 시도해보면 좋을 ‘SD 카드 EEPROM 부팅 이미지 설치’ 기능까지 빼놓지 않고 챙겼습니다. 특별한 이유가 없는 한 굳이 다른 방법을 사용할 필요가 없어 보입니다. ‘파이 이미저’가 가장 빠르고 쉬운 방법이네요.
파이 이미저로 SD 카드에 파이 OS를 설치하려면 아래 순서대로 진행해보세요!
❶ 현재 사용하고 있는 운영 체제용으로 나온 라즈베리 파이 이미저(Raspberry Pi Imager)를 다운로드합니다. 윈도우용 뿐만 아니라 맥 OS(macOS), 우분투(Ubuntu) 리눅스용 설치 파일도 있네요. ❷ 다운로드 받은 설치 파일을 더블 클릭하여 실행합니다. 윈도우를 사용하신다면 Install 버튼을 클릭하여 이미저를 설치하시고요. 맥 OS에서는 .dmg 파일을 연 다음에 프로그램 아이콘을 응용 프로그램 폴더로 끌어다 놓으세요. 우분투 계열 배포판도 .deb 파일을 더블 클릭한 다음 설치 창이 뜨면 ‘Install’이나 ‘설치’ 버튼을 클릭하여 설치해주세요. ❸ SD 카드 리더기에 ‘SD 카드’를 끼우고 리더기를 컴퓨터의 USB 단자에 연결합니다. SD 카드 리더기를 내장한 노트북이라면 SD 카드를 바로 장착합니다. ❹ 라즈베리 파이 이미저(Raspberry Pi Imager)를 실행해주세요. ❺ 사용할 운영 체제를 선택합니다. ‘라즈베리 파이 OS(Raspberry Pi OS)’를 설치하려면 맨 위에 있는 Raspberry Pi OS를 선택해주세요. 우분투 마테(Ubuntu Mate)나 만자로 리눅스(Manjaro Linux) 등 다른 운영 체제를 설치하려면 맨 아래 쪽에 위치한 Use custom(사용자 지정) 항목을 클릭한 다음에 운영 체제의 설치 이미지(.img / .zip / .gz…)를 선택해줍니다. ‘라즈베리 파이 OS’ 말고도 라즈베리 파이에 최적인 운영 체제가 20가지나 더 있습니다. 직접 한 번 시험해보세요! ❻ 프로그램 창 중앙의 CHOOSE SD CARD 버튼을 클릭한 후 운영 체제를 설치할 SD 카드를 선택하세요. ❼ 마지막으로 WRITE 버튼을 클릭합니다. 모든 과정이 끝날 때까지 기다려주세요.
라즈베리 파이 OS 첫 사용 설정
SD 카드에 라즈베리 파이 OS를 문제 없이 설치하셨다면 컴퓨터에서 분리한 다음에 라즈베리 파이에 끼워주세요. 초록색 기판에서 ‘SD CARD’라고 인쇄된 부분이 SD 카드를 넣는 부분입니다. 이제 전원을 연결하고 잠시 기다리면 라즈베리 파이 OS가 마침내 모습을 드러냅니다. 화면 중앙을 보면 간단한 사용 설정을 안내할 ‘Welcome to Raspberry Pi’ 창이 열려있는데요. Next(다음) 버튼을 눌러주세요.
아래 모습처럼 Set Country(국가 설정) 화면이 나오는데요. Country(국가)는 United Kingdom(영국)을 선택하고 Language(언어)는 British English(영국 영어)를 선택해주세요. 선택하셨다면 Next 버튼을 누릅니다. 여기서 ‘국가’를 ‘영국’으로 선택하는 이유는 두 가지가 있습니다.
첫 번째 이유는 ‘국가’로 South Korea(한국)을 선택하면 재시작 이후에 메뉴나 바탕 화면 휴지통 아이콘을 비롯한 모든 곳의 글자가 외계어로 깨져 보이기 때문이고요.
두 번째 이유는 라즈베리 파이 3 B나 그 이전 파이의 경우 Wi-Fi 연결에 문제가 생기기 때문입니다. ‘국가’를 선택하면 국가별 ‘Wi-Fi 주파수 신호 범위’ 설정도 함께 불러오는데, 라즈베리 파이 3 B와 그 이전 파이의 Wi-Fi 칩셋에 대한 한국 지역 ‘주파수 범위’ 설정에 문제가 있다고 합니다.
이로 인해 ‘파이 3 B’에서 South Korea를 선택하면 Wi-Fi 접속 지점(AP) 이름도 뜨지 않고 당연히 Wi-Fi 연결도 불가능합니다. 따라서 Wi-Fi에 정상적으로 연결하려면 United Kingdom을 선택해야 하네요. ‘파이 3 B+, 4’도 동일한 문제가 있었는데 지금은 해결한듯 합니다.
다음으로는 기본 계정인 ‘pi’의 암호를 설정하는 화면이 나오는데요. 기본 암호는 ‘raspberry’로 설정되어 있고요. 보안을 위해 반드시 암호를 설정하시길 권해 드립니다. Enter new password(새 암호 입력)에 암호를 입력하시고 Confirm new password(새 암호 확인)에 동일한 암호를 한 번 더 입력한 다음 Next 버튼을 눌러주세요.
이제 ‘Wi-Fi 연결’ 화면이 나옵니다. 연결할 ‘Wi-Fi 이름’을 선택하고 ‘암호’를 입력한 다음에 Next 버튼을 눌러주세요.
다음으로는 ‘라즈베리 파이 OS’의 업데이트를 확인하는 화면이 나옵니다. Skip 버튼을 눌러 지금은 업데이트를 건너 띄고 나중에 업데이트를 확인할 수도 있고요. Next 버튼을 클릭하여 업데이트 확인과 설치를 진행할 수도 있는데요. ‘Next’ 버튼을 눌러 업데이트를 확인하면 업데이트 확인과 다운로드에 상당한 시간이 걸릴 수 있으니 참고해주세요.
이렇게 해서 첫 기본 설정이 끝났습니다. 방금 전 ‘Update Software(소프트웨어 업데이트)’ 화면에서 Skip을 누르셨다면 아래와 같이 설정 완료 화면이 나오고요. Done(마침) 버튼을 눌러 주시면 됩니다!
‘Update Software’ 화면에서 Next 버튼을 클릭하여 업데이트 설치를 진행하신 경우 아래처럼 두 가지 버튼을 표시합니다. 파이를 나중에 다시 시작하려면 Later(나중에) 버튼을 누르시고요. 파이를 다시 시작하여 업데이트의 변경 사항을 적용하려면 Restart(다시 시작) 버튼을 클릭해주세요!
‘대한민국’ 시간대로 변경
앞서 ‘초기 설정’ 과정에서 ‘두 가지 문제’를 피하기 위해서 국가를 ‘영국’으로 설정했습니다. 시스템의 시간도 ‘영국 시간’을 표시하는데요. 한국 시간을 표시하도록 설정을 변경해보겠습니다!
좌측 상단 모서리의 ‘라즈베리 로고 버튼’을 눌러 메뉴를 열고 Preferences(설정) > Raspberry Pi Configuration(라즈베리 파이 설정) > Localisation(현지화)를 선택하여 설정 창을 열고요. Set Timezone(시간대 설정) 버튼을 누른 다음에 Asia, Seoul을 선택하고 OK, OK 버튼을 클릭해주세요.
이제 파이를 다시 시작하여 변경한 설정을 적용하면 시스템이 시간을 ‘한국’ 시간으로 정상적으로 표시합니다.
한글 표시와 입력을 위해 – 한글 폰트와 입력기 설치
라즈베리 파이 OS는 기본적으로 ‘한글 폰트’와 ‘한글 입력기’를 설치하지 않습니다. 이 때문에 설치 직후에는 시스템이나 인터넷 웹 사이트의 한글이 깨져 나오고, 한글 입력도 할 수가 없는데요. 아래에서 살펴볼 간단한 명령어로 한글 폰트와 입력기를 설치해줘야 합니다.
먼저, Ctrl + Alt + T 키를 눌러 터미널을 열고요. 아래 명령을 실행하여 한글 폰트를 설치합니다.
sudo apt install fonts-nanum [명령어 복사]
이제 화면 상단의 ‘지구본’ 모양 아이콘을 클릭하여 크로미움(Chromium) 웹 브라우저를 열고 국내 사이트를 방문해보면 한글이 깨지지 않고 문제 없이 표시됨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다음으로 한글 입력기를 설치해볼까요. 터미널에 아래 명령어를 입력하고 엔터 키를 눌러 한글 입력기를 설치합니다. 한 번에 한 줄씩! 순차적으로 실행해주세요! 혹시 명령 실행 후에 정말 설치를 원하는지 물으면 y를 입력한 다음에 엔터 키를 눌러주세요.
실행하셨다면 파이를 다시 시작해주시고요. 재시작 후에는 ‘파이 로고’ > Preferences > Fcitx Configuration 순서로 클릭해주세요.
‘Input Method Configuration’ 입력 설정 창이 열리면 좌측 하단의 [+] 버튼을 클릭한 다음에 Only Show Current Language의 체크를 풀고 하단의 검색창에 hangul을 입력합니다. 목록에 Hangul 항목이 보이면 클릭하여 선택한 다음에 OK 버튼을 눌러 추가해주세요.
이렇게 해서 한글을 입력할 수 있게 됐습니다! 영어 입력 상태에서 Ctrl + Space 키를 눌러 한/영 전환을 하면? 마침내 한글을 입력할 수 있습니다!
기본 한/영 전환키인 Ctrl + Space를 다른 키 조합으로 변경하려면, 앞서 본 ‘Fcitx 설정’ 창의 Global Config 탭에서 Trigger Input Method 부분의 ‘Ctrl+Space’ 버튼을 클릭한 다음에 새 한/영 키 조합을 눌러주면 바뀝니다. 아쉽게도 키보드의 ‘한/영’키는 지정이 안 되네요.
또 하나의 설치 방법 NOOBS로 설치하는 방법
NOOBS(New Out Of the Box Software)는 라즈베리 파이 첫 시작 시에 사용하고자 하는 운영 체제를 선택하면 SD 카드에 설치해주는 프로그램인데요. 기본적으로 SD 카드에 운영 체제 설치에 필요한 파일을 모두 미리 저장해 놓은 다음, 사용자가 원하는 운영 체제를 선택하면 그 후에 운영 체제를 설치하는 방식을 활용합니다.
‘라즈베리 파이 이미저(Raspberry Pi Imager)’는 컴퓨터에서 SD 카드에 파이 OS를 설치하는데요. ‘NOOBS’는 라즈베리 파이에서 SD 카드에 파이 OS를 설치합니다. 이로 인해 이미저로 설치할 때보다는 속도가 다소 느린 편이고요. 직접 SD 카드를 포맷하고 파일을 복사해야 하는데요. 그럼에도 파이 OS 설치 방법으로 선호하는 사람이 여전히 많은 방법이기도 합니다.
❶ NOOBS .Zip 압축 파일을 다운로드합니다. 링크를 열고 다운로드 페이지에서 Download ZIP 버튼을 클릭해주세요. ❷ 평소 사용하는 압축 프로그램으로 .Zip 파일의 압축을 풀어주세요. 저는 ‘반디집’을 주로 사용합니다. ❸ ‘SD 카드’를 ‘FAT32’ 파일 시스템 형식으로 포맷합니다. 윈도우는 FAT32 형식으로 최대 32GB까지만 포맷이 가능합니다. 따라서 SD 카드의 용량이 32GB 이상이라면 ‘라즈베리 파이 이미저’로 포맷을 진행해야 합니다. SD 카드를 컴퓨터에 꽂은 다음에 ‘파이 이미저’를 실행하고요. CHOOSE OS 클릭 > Erase 선택 > CHOOSE SD CARD 클릭한 후 SD 카드 선택 > Write 버튼 클릭 순서로 진행하여 SD 카드를 포맷해주세요. ❹ NOOBS의 .Zip 압축 파일을 풀고, SD 카드도 포맷하셨나요? 이제 압축을 해제한 NOOBS 폴더 안에 있는 모든 파일을 SD 카드로 복사해주세요. 이 때, NOOBS 폴더가 아닌 폴더 안의 파일만 복사해주셔야 합니다. ❺ 컴퓨터에서 SD 카드를 꺼낸 다음에 라즈베리 파이에 꽂습니다. 이제 라즈베리 파이에 전원을 연결하여 켜주세요. ❻ 아래와 같은 화면이 나오죠? 마지막으로 목록에서 설치하려는 운영 체제를 체크하여 선택합니다. 맨 위에 있는 라즈베리 파이 OS를 선택하면 되겠죠? 선택하셨다면 Install(설치) 버튼을 클릭합니다. ❼ NOOBS가 라즈베리 파이 OS의 설치를 끝마칠 때까지 기다려주세요. 설치를 마치면 라즈베리 파이 OS로 부팅합니다. 마침내 라즈베리 파이를 자유롭게 활용하는 일만 남았네요.
+보너스! 모니터, 키보드 없이 사용하는 방법
모니터나 키보드, 마우스가 없어도 라즈베리 파이를 사용할 수 있다는 사실, 알고 계셨나요? 라즈베리 파이에 ‘원격 접속’을 설정해두면 컴퓨터, 스마트폰, 태블릿에서 원격으로 연결하여 파이를 사용할 수 있는데요. 아래에서 라즈베리 파이를 모니터나 키보드 없이도 사용할 수 있도록 설정하는 방법을 살펴보겠습니다!
1. SD 카드에 라즈베리 파이 OS 설치
본문의 ‘이미저’ 사용 방법에 나온 내용대로 진행하여 SD 카드에 라즈베리 파이 OS를 설치해주세요.
2. 원격 로그인을 위해 ‘ssh’ 기능 켜기
‘ssh’ 기능은 도스창과 유사한 콘솔 명령창에서 파이에 원격으로 연결하여 각종 프로그램이나 명령어를 실행할 수 있는 기능인데요. 라즈베리 파이에 VNC로 연결해서 마우스로 원격 조정을 하려면 관련 설정 작업이 필요하고요. 이 설정 작업을 하려면 먼저 ssh 기능을 켜야 합니다.
ssh 기능을 켜는 방법은 생각 보다 간단한데요. SD 카드의 최상위 루트에 확장자 없이 ssh라는 빈 파일을 만들면 모든 과정이 끝입니다. SD 카드를 컴퓨터에 삽입한 채로 아래 내용대로 따라해보세요!
윈도우(Windows)에서는 이렇게 하세요.
❶ 윈도우 로고 + E 키를 눌러 파일 탐색기를 열고요. 상단 리본 메뉴의 보기 > 파일 확장명을 선택하여 파일의 확장자를 표시하도록 설정합니다. ❷ 파이 OS를 설치한 SD 카드의 최상위 루트로 이동한 다음에 마우스 오른쪽 버튼을 클릭하고 새로 만들기 > 텍스트 문서를 선택합니다. ❸ 파일 생성 후 이름 변경 상태가 되면 확장자인 .txt와 이름을 다 지운 다음에 ssh만 입력하고 엔터 키를 눌러주세요. ‘파일의 확장명을 변경하면 사용할 수 없게 될 수도 있다’는 알림 창이 뜨면 예를 선택합니다! 이렇게 해서 SD 카드의 최상위에 ssh 파일을 만들면? 파이의 ssh 기능이 켜집니다! 😊
맥 OS(macOS)에서는 이렇게 합니다.
응용 프로그램 > 유틸리티 폴더에 있는 터미널을 열고 아래의 명령을 실행해주세요! touch /Volumes/boot/ssh [명령어 복사]
리눅스(Linux)에서는 이렇게 하세요.
❶ Ctrl + Alt + T 키를 누르거나 프로그램 실행 메뉴를 열고 터미널을 실행해주세요. ❷ 터미널 창에 lsblk [명령어 복사] 라고 입력한 후 엔터 키를 눌러 명령을 실행합니다. ❸ 명령 실행 후 출력 결과의 NAME 열에서 /dev/mmcblk0p1이나 /dev/mmcblk1p1과 같은 형태의 내용이 적힌 줄이 보이시나요? 해당 장치가 바로 ‘SD 카드’ 입니다. NAME MAJ:MIN RM SIZE RO TYPE MOUNTPOINT /dev/mmcblk0p1 259:0 0 16G 1 disk /media/ubuntu/sd_card ❹ ‘SD 카드’의 MOUNTPOINT 부분에 나온 내용을 확인해주세요. SD 카드의 최상위 루트 경로입니다. ❺ 아래 명령을 실행해주세요! touch [MOUNTPOINT 부분에 표시된 경로] 예를 들어서 MOUNTPOINT에 나온 SD 카드의 최상위 경로가 /media/ubuntu/sd_card라면 아래와 같이 명령어를 입력하고 실행합니다! 예) touch /media/ubuntu/sd_card
3. ‘Wi-Fi 자동 연결’을 위해 연결 지점 이름(SSID)과 암호 정보 추가
SD 카드 최상위에 wpa_supplicant.conf라는 이름의 파일을 만든 다음에 아래의 내용을 복사 – 붙여 넣기 – 저장만 하면 끝입니다. ‘Wi-Fi 접속 지점 이름’과 ‘암호’ 부분은 실제 연결할 Wi-Fi의 이름과 암호로 바꿔주셔야 하고요.
이렇게 Wi-Fi 연결 정보를 담은 파일을 만들면 라즈베리 파이가 부팅 이후 Wi-Fi에 자동으로 로그인하여 연결합니다. 원격 연결할 준비가 끝나는 셈이죠. 자세한 적용 방법은 아래와 같습니다.
윈도우(Windows)에서는 이렇게 하세요.
❶ 윈도우 로고 + R 키를 눌러 실행 창을 엽니다. 그 후 notepad라고 입력하고 엔터 키를 눌러 메모장을 실행하세요. ❷ 위에 있는 ‘파일 내용 복사’를 클릭한 다음에 메모장에 Ctrl + V 키로 붙여넣으시고요. ssid와 psk의 값을 실제 Wi-Fi의 연결 지점 이름과 암호로 변경해줍니다. ❸ Ctrl + S 키를 누른 다음에 파일 형식으로 모든 파일을 선택하고 파일 이름으로 wpa_supplicant.conf를 입력한 다음에 SD 카드 최상위에 저장해주세요.
맥 OS(macOS)에서는 이렇게 합니다.
❶ 응용 프로그램 > 유틸리티 폴더에 있는 터미널을 열고 아래 명령을 실행합니다. nano /Volumes/boot/wpa_supplicant.conf [명령어 복사] ❷ [이 링크]를 클릭한 다음에 ⌘커맨드(Command) + V 키로 터미널 창의 편집 화면에 붙여 넣습니다. ❸ ‘Wi-Fi 이름’과 ‘암호’를 실제 Wi-Fi 이름과 암호로 변경한 다음에 Ctrl + O, 엔터 키, Ctrl + X 키를 순서대로 눌러주세요.
리눅스(Linux)에서는 이렇게 하세요.
❶ Ctrl + Alt + T 키를 눌러 터미널을 열고 lsblk를 입력한 다음에 엔터 키를 눌러 실행합니다. ❷ 출력 결과에서 /dev/mmcblk0p1이나 /dev/mmcblk1p1과 같은 형태의 내용이 적힌 줄의 MOUNTPOINT 부분에 나온 값을 확인해주세요. ❸ 아래 명령을 실행합니다. nano [MOUNTPOINT 부분의 값(SD 카드의 최상위 경로)]/wpa_supplicant.conf [명령어 복사] ❹ [이 링크]를 클릭한 다음에 Shift + Insert 키로 터미널 창의 편집 화면에 붙여 넣습니다. ❺ ‘Wi-Fi 이름’과 ‘암호’를 실제 Wi-Fi 이름과 암호로 변경한 다음에 Ctrl + O, 엔터 키, Ctrl + X 키를 순서대로 눌러주세요.
4. ssh로 파이에 원격 접속
앞서 살펴본 과정을 통해 ‘ssh’ 기능을 켜고 ‘Wi-Fi 자동 접속’도 설정하셨다면? 이제 파이에 원격으로 접속할 차례입니다! 컴퓨터에서 SD 카드를 분리한 후 라즈베리 파이에 삽입하고요. 파이에 전원을 연결한 다음 부팅이 끝날 때까지 잠시 기다립니다. 약 90초 정도 기다리신 후에 아래 과정대로 진행해주세요.
덧붙여서 파이와 컴퓨터/노트북은 동일한 Wi-Fi 접속 지점/공유기에 연결한 상태여야 합니다. 진행하기 전에 꼭 확인해보시기를 바랍니다!
윈도우(Windows)에서는 이렇게 하세요.
❶ 파이에 ‘IP 주소’로 연결하려면 IP 주소를 확인하는 과정이 필요해서 불편함이 있는데요. ‘raspberrypi.local’과 같은 형태의 ‘이름(호스트 이름)’으로 연결하면 파이의 IP 주소를 따로 확인하지 않아도 되기 때문에 편합니다. 윈도우에서 파이의 ‘이름(호스트 이름)’으로 연결하려면 애플의 Bonjour 프로그램을 설치해야 합니다. 애플의 공식 홈페이지에서 Bonjour를 다운로드한 다음에 설치해주세요. ❷ 파이에 ssh 원격 접속할 때 사용할 프로그램인 PuTTY를 설치합니다. 다운로드 페이지의 MSI (‘Windows Installer’) 부분에서 64비트(64-bit) 버전을 다운로드한 다음 설치해주세요. ❸ PuTTY를 실행하시고요. Host Name(호스트 이름)에 raspberrypi.local [클릭하여 복사]을 입력한 다음에 Open(열기) 버튼을 클릭해주세요. ❹ 보안 알림(PuTTY Security Alert) 창이 뜨면 예(Yes)를 클릭합니다. ❺ 드디어 로그인 화면이 나오는군요. 아이디에 해당하는 login as: 에는 pi를 입력한 다음 엔터 키를 누르시고요. 암호(…password:)로는 raspberry를 입력하고 엔터 키를 눌러주세요. 이렇게 해서 마침내 파이 원격 연결에 성공했습니다! 명령어를 자유롭게 실행하며 라즈베리 파이에서 필요한 작업을 할 수 있게 됐네요.
맥 OS(macOS)에서는 이렇게 합니다.
❶ 응용 프로그램 > 유틸리티 폴더에 있는 터미널을 열고 아래 명령을 실행합니다. 한 줄씩 순서대로 실행해주세요. ssh-keygen -R raspberrypi.local [명령어 복사]
ssh [email protected] [명령어 복사] ❷ 두 번째 명령어를 실행한 후 1분이 넘도록 기다려도 별다른 반응이 없을 경우 ‘Ctrl + C’ 키를 눌러 명령어를 실행 중지한 다음에 ssh [email protected] 명령어를 다시 한 번 실행해주세요. ❸ 보안 알림 메시지가 표시되면 엔터 키를 눌러 기본 값인 Yes를 선택해주세요. ❹ 암호를 입력한 다음 엔터 키를 누릅니다. 기본 암호는 raspberry 입니다.
리눅스(Linux)에서는 이렇게 하세요.
❶ Ctrl + Alt + T 키를 눌러 터미널을 열고 다음 명령을 실행합니다. ssh [email protected] [명령어 복사] ❷ 명령어를 실행한 후 1분이 넘도록 기다려도 별다른 반응이 없을 경우 ‘Ctrl + C’ 키를 눌러 명령어를 실행 중지한 다음에 ssh [email protected] 명령어를 다시 한 번 실행해주세요. ❸ 보안 알림 메시지가 표시되면 엔터 키를 눌러 기본 값인 Yes를 선택해주세요. ❹ 암호를 입력한 다음 엔터 키를 누릅니다. 기본 암호는 raspberry 입니다.
명령어 환경이 아닌 바탕 화면과 메뉴를 클릭하며 마우스로 원격 조종을 하려면 파이에 VNC 기능을 켜야 합니다. 아래에서 그 방법을 살펴보겠습니다!
5. 마우스 원격 조종을 위한 ‘VNC 기능’ 켜기
바탕 화면, 아이콘이 보이는 그래픽 환경에서 마우스로 파이를 원격 제어하려면 ‘VNC 기능’을 켜줘야 하는데요. raspi-config 명령으로 VNC 기능을 켤 수 있습니다. 윈도우라면 PuTTY로 파이에 접속한 상태에서, 맥OS나 리눅스라면 ssh 명령으로 파이에 원격 접속한 상태에서 아래의 과정을 순서대로 따라해보세요!
❶ PuTTY 혹은 터미널 창의 ssh 명령으로 파이에 접속한 상태에서 아래 명령을 실행해주세요. 설정 프로그램이 열립니다. sudo raspi-config [명령어 복사] ❷ 화살표 키로 빨간색 선택 막대를 이동하여 5번 Interfacing Options를 선택하고 엔터 키를 눌러 다음 화면으로 진행합니다. ❸ 3번 항목인 VNC를 선택한 다음에 엔터 키를 누릅니다. ❹ VNC 기능을 켤지 묻는 화면이 나오면 Yes를 선택해주세요. ❺ ‘VNC 기능 켜기’가 성공적이었다는 메시지가 나오네요. 엔터 키를 누릅니다. ❻ 마지막으로 Finish 항목을 선택하고 엔터 키를 눌러 프로그램을 종료합니다.
6. ‘VNC 연결 오류’ 방지를 위해 ‘기본 해상도’ 지정
초기에만 해도 이런 문제가 없었는데요. 파이 OS의 특정 업데이트 이후부터 문제가 생겼습니다. 파이에 모니터를 연결하지 않고 VNC로 그냥 접속하면 ‘Cannot currently show the desktop(현재 데스크톱을 표시할 수 없다)’는 오류 메시지가 나오고 화면이 표시되질 않네요.
이 문제를 방지하려면 라즈베리 파이에 ‘기본 해상도’를 지정해줘야 합니다. 아래 순서대로 진행해보세요.
❶ PuTTY 혹은 터미널 창의 ssh 명령으로 파이에 접속한 상태에서 아래 명령을 실행해주세요. 설정 프로그램이 열립니다. sudo raspi-config [명령어 복사] ❷ 7 Advanced Options를 선택하고 엔터 키를 누르세요. ❸ 마찬가지로 A5 Resolution을 선택하고 엔터 키를 눌러주세요. ❹ 마침내 해상도를 선택할 때가 왔네요. 기본값(예: 1024×768)을 제외한 나머지 해상도 가운데 하나를 선택해주세요. ❺ Ok 항목을 선택하고 엔터 키를 누릅니다. ❻ 마지막으로 Finish 항목을 선택하고 엔터 키를 누르시고요. 파이를 다시 시작할지 물으면 (Would you like to reboot now?) Yes를 선택 후 엔터를 눌러주세요!
7. VNC Viewer로 원격 제어
이제 VNC 뷰어(Viewer)를 사용해 라즈베리 파이를 마우스로 원격 조종해볼까요? 공식 다운로드 페이지에서 현재 사용하고 있는 컴퓨터, 노트북, 스마트폰, 태블릿의 운영 체제에 맞는 설치 파일을 다운로드 받은 다음 설치해주세요.
이제 윈도우, 리눅스, 맥 OS라면 아래와 같이 진행합니다.
❶ VNC Viewer 프로그램을 실행한 다음에 File > New connection을 선택해주세요. ❷ VNC Server 입력 부분에 raspberrypi.local [주소 복사]이라고 입력한 후 OK 버튼을 누릅니다. ❸ 라즈베리 파이 원격 연결을 위해 방금 생성된 raspberrypi.local 아이콘을 더블 클릭합니다. ❹ 보안 알림 창이 뜨면 OK 버튼을 눌러주세요. ❺ 아래와 같이 로그인 창이 뜨면 파이의 계정과 암호를 입력합니다. 따로 변경하지 않으셨다면 기본 계정(Username:)은 pi이고, 암호(Password:)는 raspberry 입니다. 입력한 후에 OK 버튼을 눌러주세요. ❻ 화면에 파이 OS의 바탕 화면이 모습을 드러냅니다. 컴퓨터, 노트북의 키보드, 마우스로 원격 제어하며 마음껏 활용하는 일만 남았네요!
스마트폰, 태블릿에서는 이렇게 연결합니다.
❶ 스토어에서 설치한 VNC Viwer 앱을 열고 우측 상단 모서리에 있는 [+] 버튼을 터치합니다. ❷ Address 부분에 raspberrypi.local을 입력하고 Name에 Raspberry Pi를 입력한 다음 우측 상단의 Save 버튼을 터치합니다. ❸ Connect 버튼을 터치하세요. ❹ 보안 알림 화면이 뜨면 OK를 터치하시고요. 로그인 화면이 나오면 계정 아이디로는 pi를 입력하고 암호로는 raspberry를 입력한 다음에 OK를 터치해주세요. 잠시 후 라즈베리 파이의 바탕 화면이 모습을 드러냅니다.
라즈베리 파이 OS 설치 문제가 생긴다면?
라즈베리 파이 OS 설치 중에 문제가 생기더라도 크게 걱정하실 필요는 없습니다. SD 카드를 잠깐 포맷한 다음에 다시 설치하면 되니까요. 웬만해서는 ‘실수 때문에 고장나지 않을까?’ 하고 우려할 일은 없으리라 생각합니다.
문제가 발생하면 SD 카드가 올바르게 장착되어 있고 전원 어댑터의 전압과 전류량이 적합한지 확인해보세요. 라즈베리 파이 3 B+(Raspberry Pi 3 B+)의 ‘권장’ 전류와 전압은 5V/2.5A이고요. 라즈베리 파이 4 B는 5V/3.0A 입니다. 모든 파이의 권장 전류/전압은 공식 홈페이지에 잘 정리되어 있네요. HDMI 케이블은 왼쪽 편의 첫 번째 단자에 잘 연결되어 있는지, 파이 OS는 최신 버전인지도 확인해보시기를 바랍니다.
라즈베리 파이 OS(Raspberry Pi OS) 설치가 반복적으로 실패할 경우 라즈베리 파이 OS 라이트(Raspberry Pi OS Lite) 버전을 설치해보는 방법도 있습니다.
파이를 활용하면서 막히거나 잘 되지 않는 부분은 구글에 검색해보세요. 직접 부딪히면서 해결한 과정과 방법을 공유한 사람이 생각 보다 많네요. 라즈베리 파이 활용을 본격적으로 시작하고 보니 다른 사람의 경험과 지식을 참고하는 과정이 필수인 듯 합니다.
라즈베리 파이에 ‘라즈베리 파이 OS’를 설치하셨다면 모든 준비는 끝났습니다. 생각 보다 광범위한 활용이 가능한데요. 라즈베리 파이를 ‘무선 공유기’나 ‘웹 서버’로 변신시킬 수도 있고, ‘고전 게임 콘솔’로 활용할 수도 있습니다. 파이의 재미있고 다양한 활용 방법은 이후 이어질 글에서 하나씩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
키워드에 대한 정보 라즈베리 파이 4 설치
다음은 Bing에서 라즈베리 파이 4 설치 주제에 대한 검색 결과입니다. 필요한 경우 더 읽을 수 있습니다.
이 기사는 인터넷의 다양한 출처에서 편집되었습니다. 이 기사가 유용했기를 바랍니다. 이 기사가 유용하다고 생각되면 공유하십시오. 매우 감사합니다!
사람들이 주제에 대해 자주 검색하는 키워드 라즈베리파이4 #2 || 새로워진 라즈베리파이 OS(라즈비안) 설치 방법
- 라즈베리파이 OS
- 라즈베리파이OS
- 라즈비안
라즈베리파이4 ##2 #|| #새로워진 #라즈베리파이 #OS(라즈비안) #설치 #방법
YouTube에서 라즈베리 파이 4 설치 주제의 다른 동영상 보기
주제에 대한 기사를 시청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라즈베리파이4 #2 || 새로워진 라즈베리파이 OS(라즈비안) 설치 방법 | 라즈베리 파이 4 설치, 이 기사가 유용하다고 생각되면 공유하십시오, 매우 감사합니다. 참조할 수 있는 기타 관련 주제: 라즈베리 파이 4 설치 라즈베리파이 설치, 라즈베리파이 os 설치, 라즈비안 설치, 라즈베리파이 사용법, 라즈베리파이4 활용, 라즈베리파이4 모니터 연결, 라즈베리파이4 ssh, 라즈베리 파이 설치 시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