라즈베리 파이 설치 | 라즈베리파이 Os설치에서 원격접속까지 최근 답변 168개

당신은 주제를 찾고 있습니까 “라즈베리 파이 설치 – 라즈베리파이 os설치에서 원격접속까지“? 다음 카테고리의 웹사이트 https://kotop.abigaelelizabeth.com 에서 귀하의 모든 질문에 답변해 드립니다: https://kotop.abigaelelizabeth.com/blog. 바로 아래에서 답을 찾을 수 있습니다. 작성자 세원쌤 기술교실 이(가) 작성한 기사에는 조회수 4,786회 및 좋아요 29개 개의 좋아요가 있습니다. 사람들이 이 주제에 대해 검색하는 관련 키워드: 라즈베리 파이 설치 라즈베리파이4 설치, 라즈베리파이 사용법, 라즈베리파이3 설치, 라즈베리파이 os, 우분투 라즈베리파이 설치, 라즈비안 설치, 라즈베리 파이 설치 시간, 라즈베리파이4 os 설치

라즈베리파이에 OS 설치
  1. 노트북에 Win32 Disk Imager툴을 설치한다. …
  2. 노트북에 OS를 다운로드한다. …
  3. 다운르도 받은 ZIP 파일 압축을 푼다
  4. 마이크로 SD카드를 리더기에 꽂고 , 노트북에 연결해 다운로드한 OS를 Write 해서 넣는다.(20분)

Table of Contents

라즈베리 파이 설치 주제에 대한 동영상 보기

여기에서 이 주제에 대한 비디오를 시청하십시오. 주의 깊게 살펴보고 읽고 있는 내용에 대한 피드백을 제공하세요!

d여기에서 라즈베리파이 os설치에서 원격접속까지 – 라즈베리 파이 설치 주제에 대한 세부정보를 참조하세요

주제와 관련된 이미지 라즈베리 파이 설치

주제와 관련된 더 많은 사진을 참조하십시오 라즈베리파이 os설치에서 원격접속까지. 댓글에서 더 많은 관련 이미지를 보거나 필요한 경우 더 많은 관련 기사를 볼 수 있습니다.

라즈베리파이 os설치에서 원격접속까지
라즈베리파이 os설치에서 원격접속까지

주제에 대한 기사 평가 라즈베리 파이 설치

  • Author: 세원쌤 기술교실
  • Views: 조회수 4,786회
  • Likes: 좋아요 29개
  • Date Published: 2021. 11. 3.
  • Video Url link: https://www.youtube.com/watch?v=Hf0PThxcoaA

라즈베리 파이 설치 주제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여기를 참조하세요.

라즈베리파이4 OS설치 (Raspberry Pi OS 설치) 최신 방법

우분투 GUI에 설정에서 지역 및 언어를 선택하고 설치된 언어 관리를 클릭합니다. 처음에 언어 지원이 완벽하게 설치되지 않았다는 안내창에 나오면 설치 …

+ 여기를 클릭

Source: reddb.tistory.com

Date Published: 11/3/2022

View: 3940

1.(시작) 라즈베리파이3 OS설치법 – 브런치

1) OS다운로드 받기. – 1시간 걸린다. · 2) 노트북에 업로드 프로그램 설치. – 리더기에 MicroSD카드를 끼우고, 노트북에 연결 · 3) OS설치가 완료되었다.

+ 더 읽기

Source: brunch.co.kr

Date Published: 6/28/2021

View: 6004

설치는 어떻게? 라즈베리 파이, 파이 OS 설치 방법 2가지! (+ …

라즈베리 파이 OS를 설치하는 쉽고 확실한 방법 2가지를 살펴봅니다. 또한, 보너스 코너로 라즈베리 파이를 모니터, 키보드 없이 사용하는 방법도 …

+ 여기를 클릭

Source: sergeswin.com

Date Published: 3/7/2022

View: 6720

라즈베리파이OS 설치하기 – 로봇스토리

컴퓨터반 · 1. 이미저 다운로드 · 2. 이미저 설치 · 3. SD카드 연결 · 4. 운영체제 선택 · 5. 저장장치 선택 · 6. 라즈베리파이OS 굽기 · 7. ssh 사용 설정 · 8.

+ 자세한 내용은 여기를 클릭하십시오

Source: www.robotstory.co.kr

Date Published: 6/7/2021

View: 1117

Raspberry Pi OS

Raspberry Pi Imager is the quick and easy way to install Raspberry Pi OS and other operating systems to a microSD card, ready to use with your Raspberry Pi.

+ 자세한 내용은 여기를 클릭하십시오

Source: www.raspberrypi.com

Date Published: 12/11/2021

View: 7213

Raspberry PI에 OS 설치하기 (Raspbian) – Step 1 – 네이버 블로그

그래서 라즈베리파이에 운영체제를 설치하는 방법에 대해 소개하는 글을 다시 작성했습니다. 먼저 작업을 하기 전에 운영체제를 설치할 MicroSD 카드 …

+ 여기에 자세히 보기

Source: blog.naver.com

Date Published: 2/30/2021

View: 3659

라즈베리 파이 OS – 나무위키:대문

Raspberry Pi OS 공식 설치 도구인 NOOBS를 사용하여 설치할 수도 있다. 디스크 이미지 플래싱 과정을 컴퓨터에서 진행할 필요도 없으며, 파티션 크기 …

+ 여기에 자세히 보기

Source: namu.wiki

Date Published: 10/2/2022

View: 1279

라즈베리파이에 OS(Raspberry Pi OS) 설치하기 – 포도빛잇(IT)

오늘은 내가 가지고 있는 라즈베리파이3에 라즈베리파이 OS를 설치해볼 것이다. # 준비물 라즈베리파이 microSD 카드 (Lite 사용시 4 GB 이상, …

+ 여기에 표시

Source: phodobit.kr

Date Published: 3/27/2022

View: 8386

3.(시작) 라즈베리파이3 구매와 OS 설치

라즈베리파이는 미니 서버이다.

서버로 원하는 걸 만들 수 있다.

내가 제어하는 것으로 생산적인 것을 만들수 있다.

라즈베리파이 4가 나왔다.

4를 구매하자.

미니 서버인 하드웨어를 다뤄보자.

소프트웨어로 하드웨어를 어떻게 제어하는지 알아보자~

1. 라즈베리파이 3 Model B 구매

1) 처음 구매라면 세트를 사는 것이 편하다. (중간에 뭐가 없으면 또 사야 한다)

2) 원하는 자료나 유튜브 자료가 Raspberry Pi 3 용이면 3 버전을 사도 된 다.

# 세트는 10만 원 정도 가격하는데 사이트마다 조금씩 틀리다.

2. 구매 세트

1) 라즈베리파이 3 본체

2) 케이스. 전원 어댑터

3) 마이크로 SSD

4) SSD 리더기

5) 노트북 1대

6) 라즈베리파이에 OS를 깔려면 HDMI가 지원되는 모니터가 1대 있어야 한다.

7) 라즈베리파이 구매 사이트

11번가에서도 팔고, 아래 사이트에서도 판매한다.

3. 라즈베리파이에 OS 설치

1) 노트북에 Win32 Disk Imager툴을 설치한다.

Win32 Disk Imager

2) 노트북에 OS를 다운로드한다.

라이트 버전보다는 일반 버전을 받는다.

OS

RASPBIAN STRETCH WITH DESKTOP – Download Zip

2시간 걸린다.

3) 다운르도 받은 ZIP 파일 압축을 푼다

4) 마이크로 SD카드를 리더기에 꽂고 , 노트북에 연결해 다운로드한 OS를 Write 해서 넣는다.(20분)

OS 넣기

5) 라즈베리파이에 마이크로 SD카드를 연결하고 , 모니터 /키보드 연결, 전원을 켠다.

OS 설치한 SD카드를 라즈베리 파이에 꽂는다.

6) 키보드 마우스를 연결하고 부팅한다.

7) 이후 , VNC Server 설치한다.

SSH 설치해 Putty로 원격 접 속 사용한다.

다음은 라즈베 리파이로 하드웨어 제어하는 LED 제어하기로 고고 ~

https://brunch.co.kr/@topasvga/1378

감사합니다.

라즈베리파이4 OS설치 (Raspberry Pi OS 설치) 최신 방법

라즈베리파이4 OS설치 (Raspberry Pi OS 설치) 최신 방법

라즈베리파이 홈페이지에서 제공하는 라즈베리파이 imager의 버전이 올라감에 따라 이전 포스팅때는 없던 편의기능( OS를 굽기전에 SSH켜기 및 Wifi 설정 )이 생겨 그 기능을 활용하여 라즈베리파이 OS를 설치하는 포스팅을 다시 올립니다.

먼저 윈도우에서 저장장치를 포맷합니다.

저용량인 경우 FAT32로 포맷을 하시고, 고용량인 exFAT으로 포맷을 하시기 바랍니다.

(이 방법 외에도 아래에서 Imager를 이용한 포맷방법도 설명하겠습니다.)

포맷

다음은 라즈베리파이 홈페이지에서 Windows용 Raspberry PI imager를 다운 받습니다.

https://downloads.raspberrypi.org/imager/imager_latest.exe

Imager 다운받기

다음은 라즈베리파이 OS를 다운받습니다.

저는 데스크탑 및 권장 S/W가 포함된 21년 5월 7일자 이미지를 다운받았습니다.

라즈베리파이 OS

다운받은 라즈베리파이 Imager를 설치 및 실행해 줍니다.

Imager가 실행되면 OS 선택을 클릭하고 Erase를 선택합니다.

(처음 위에서 포맷을 안하신 분들은 이 방법으로 포맷하시기 바랍니다)

그리고 저장장치를 선택하시고 쓰기(굽기)를 시작합니다.

포맷이 완료 됐다면 첫번째 OS 선택버튼을 클릭하시고 최하단에 Use custom을 선택합니다.

그리고 다운받은 라즈베리파이 OS를 압축을 풀고 선택합니다.

(현재 최신버전은 21-05-07 buster armhf(32bit) 입니다)

다음은 Imager에서 새롭게 추가된 기능을 사용해 보겠습니다. (이것때문에 포스팅을 다시하고 있습니다)

스토리지를 선택하기전에 컨트롤+시프트+X를 누르시면 어드벤시드 옵션 항목이 나옵니다.

컨트롤 + 시프트 + X

옵션항목 중 Enable SSH를 체크하시고 비밀번호를 변경하시기 바랍니다.

Configure wifi도 체크하시고 SSID에는 와이파이 이름을, 그 아래에는 비밀번호를 넣으시고 저장합니다.

SSH와 Wifi 설정

이제 스토리지를 선택하고 쓰기(굽기)를 진행합니다.

굽는 퍼센트가 나오는데 다 굽고 나면, 제대로 쓰기가 됐는지 확인하는 퍼센트가 또 나옵니다.

쓰기가 모두 끝났다면 저장장치를 제거 후 라즈베리파이에 삽입하고 전원을 인가해줍니다.

참고로 저는 USB에 쓰기를 했는데 라즈베리파이를 USB로 OS 부팅하는 방법은 이전 포스팅을 참조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아래 링크 클릭)

https://reddb.tistory.com/187

제대로 부팅이 됐다면 wifi접속까지 완료되어 있는 상태일 겁니다.

집에서 사용중인 공유기에서 IP활당내역을 조회하시면 몇번 아이피로 활당 되었는지 알 수 있습니다.

(저는 iptime을 사용중인데, 고급설정-네트워크관리-내부 네트워크 설정에서 확인 했습니다)

OS를 구울때 SSH도 함께 실행하도록 설정했기에 위에서 알아낸 아이피와 22번 포트(SSH포트)로 콘솔접속을 합니다. (접속 시 경고창이 뜨면 예를 클릭하세요)

저는 putty 사용자여서 putty로 붙어보겠습니다. putty 다운이 필요하시면 아래 링크로 가서 받으시기 바랍니다.

https://www.chiark.greenend.org.uk/~sgtatham/putty/latest.html

SSH 초기 접속 아이디/패스워드는 pi/OS구울때 설정한 비밀번호 입니다.

다음은 VNC를 켜주도록 하겠습니다. 콘솔창에서 아래 명령어를 입력합니다.

sudo raspi-config

Interface Options -> VNC -> 예 -> 확인 순서로 선택을 합니다.

다음은 Display Option -> Resolution -> DMT Mode 35 1280×1024 -> 확인 순서로 선택합니다.

다음은 REALVNC Viewer를 다운받아야 합니다. 아래 사이트에서 Viewer를 다운 받고 설치 실행합니다.

(참고로 다운버튼 하단에 드롭박스에서 스탠드어론 exe로 다운받으시면 설치 없이 실행이 됩니다)

Windows

VNC Viewer를 실행하시고 File -> New connection…을 선택합니다.

VNC Server란에는 위에서 알게된 라즈베리파이 IP주소를 넣어주시고, Name에는 접속 아이콘 이름으로 정하고 싶은 단어를 넣고 OK를 클릭합니다.

새롭게 만들어진 아이콘을 더블클릭하면 접속이 진행됩니다. Identity Check에서 컨티뉴를 클릭하세요.

계정과 패스워드를 묻는데 입력하시고 저장하기까지 체크 후 OK를 클릭해줍니다.

이제 라즈베리파이 GUI에서 원하시는 세팅을 하시면됩니다.

1.(시작) 라즈베리파이3 OS설치법

IOT서비스를 하기 위해 라즈베리파이 서버를 알아보자.

서버는 여러분이 서비스를 하기 위한 인프라이다.

가장 쉽게 서버를 접하는 방법 중 하나가 라즈베리파이를 사용하는것이다.

1. 하드웨어 설치

라즈베리파이를 구매했다면 다음과 같이 하드웨어를 연결한다.

1) HDMI 모니터

2) 키보드

3) 마우스

4) 라즈베리파이 전원

2. OS 설치

1) OS다운로드 받기

2) 노트북에 업로드 프로그램 설치

3) OS를 마이크로SD 카드에 설치

4) 마이크로 SD카드를 라즈베리파이에 연결

1) OS다운로드 받기

– 1시간 걸린다.

– 집에서 받으세요. Download Zip

https://www.raspberrypi.org/downloads/raspbian/

2) 노트북에 업로드 프로그램 설치

– 리더기에 MicroSD카드를 끼우고, 노트북에 연결

– 업로드 프로그램 설치

postdownload-file

– 다운로드 받은 raspbian 이미지를 D:드라이브인 MicroSD에 쓰기

3) OS설치가 완료되었다.

마이크로 SD카드를 라즈베리파이에 연결

4) 마이크로 SD카드를 라즈베리파이에 연결

부팅

https://brunch.co.kr/@topasvga/1378

감사합니다.

설치는 어떻게? 라즈베리 파이, 파이 OS 설치 방법 2가지! (+모니터, 키보드 없이 사용하려면?)

2019년도까지 라즈비안(Raspbian)이라 불렸던 라즈베리 파이 OS(Raspberry Pi OS)는 데비안(Debian) 리눅스가 바탕입니다. 손바닥 크기의 미니 컴퓨터인 라즈베리 파이(Raspberry Pi) 파이에서 쾌적하게 실행되도록 최적화되어 있고요. 꼭 필요한 유용한 프로그램이 모두 ‘기본 프로그램’인 점이 마음에 듭니다. 라즈베리 파이를 처음 사용하신다면 ‘라즈베리 파이 OS’부터 설치해보시길 추천드리고 싶은데요.

라즈베리 파이 OS(Raspberry Pi OS) 설치는 기존에도 쉬운 편이었지만, 작년인 2020년에 ‘라즈베리 파이 이미저(Raspberry Pi Imager)’라는 프로그램이 나오면서 훨씬 더 쉬워졌습니다. 아래에서 라즈베리 파이에 ‘라즈베리 파이 OS’ 설치하는 방법을 차근차근 살펴보겠습니다.

아래에 나온 방법대로 진행하려면 파이에 모니터와 키보드, 마우스를 연결해야 합니다. 파이에 모니터, 키보드, 마우스를 연결하지 않고도 설정을 진행하려면, 파이의 전원을 켜는 즉시 Wi-Fi에 연결하고 원격 접속을 허용하도록 구성해줘야 하는데요. 라즈베리 파이를 ‘모니터나 키보드 없이’ 사용하는 방법도 글 후반부에서 보너스로 살펴보겠습니다!

라즈베리 파이 OS 설치 방법 준비물은?

SD 카드에 라즈베리 파이 OS를 설치하려면 아래와 같은 준비물이 필요합니다!

* 라즈베리 파이(Raspberry Pi) – 라즈베리 파이 3, 3B, 3B+, 4… * SD 카드 (전체 설치에 16GB 필요, 속도는 최소 클래스 4 이상을 추천!) * 컴퓨터 * SD 카드 리더기 * 5V 전원 어댑터 * 모니터 * HDMI 케이블 * 키보드, 마우스 (글 후반부에 보너스로 소개할 ‘라즈베리 파이 모니터/키보드 없이 사용하는 방법’을 적용하실 계획이라면 없어도 괜찮습니다!)

라즈베리 파이 OS 설치 방법 ‘이미저’ 사용 방법

라즈베리 파이 이미저(Raspberry Pi Imager)가 나오기 전까지만 해도 라즈베리 파이 OS(Raspberry Pi OS)를 SD 카드에 설치하려면, 공식 사이트에서 ‘파이 OS 이미지’를 다운로드한 다음에 ‘발리나 에처(balenaEtcher)’와 같은 프로그램을 사용해야 했습니다.

‘파이 이미저’는 이 두 단계를 하나로 결합한 프로그램입니다. 파이 OS 이미지를 따로 다운로드 받을 필요 없이 이 프로그램만 실행하면 ‘OS 다운로드’와 ‘SD 카드 설치’를 한 번에 진행할 수 있어 편합니다. 선택한 운영 체제의 최신 버전을 자동으로 다운로드하여 SD 카드에 설치해줍니다.

파이 이미저는 단순히 ‘OS 다운로드’ 기능만 결합하지 않고 세심한 부분까지 신경을 써서 더욱 높은 점수를 주고 싶은데요. 특정 운영 체제를 이전에 SD 카드에 설치한 적이 있다면, 다른 SD 카드에 설치할 때는 파일을 다시 다운로드하지 않고 기존에 다운로드 해둔 파일을 그냥 사용합니다. 덕분에 여러 SD 카드에 설치하거나 기존 SD 카드에 재설치할 때 시간을 많이 아낄 수 있어 좋습니다.

파이 이미저는 ‘SD 카드 FAT32 포맷’ 기능과 더불어 라즈베리 파이 4(Raspberry Pi 4)에 부팅 문제가 생길 때 시도해보면 좋을 ‘SD 카드 EEPROM 부팅 이미지 설치’ 기능까지 빼놓지 않고 챙겼습니다. 특별한 이유가 없는 한 굳이 다른 방법을 사용할 필요가 없어 보입니다. ‘파이 이미저’가 가장 빠르고 쉬운 방법이네요.

파이 이미저로 SD 카드에 파이 OS를 설치하려면 아래 순서대로 진행해보세요!

❶ 현재 사용하고 있는 운영 체제용으로 나온 라즈베리 파이 이미저(Raspberry Pi Imager)를 다운로드합니다. 윈도우용 뿐만 아니라 맥 OS(macOS), 우분투(Ubuntu) 리눅스용 설치 파일도 있네요. ❷ 다운로드 받은 설치 파일을 더블 클릭하여 실행합니다. 윈도우를 사용하신다면 Install 버튼을 클릭하여 이미저를 설치하시고요. 맥 OS에서는 .dmg 파일을 연 다음에 프로그램 아이콘을 응용 프로그램 폴더로 끌어다 놓으세요. 우분투 계열 배포판도 .deb 파일을 더블 클릭한 다음 설치 창이 뜨면 ‘Install’이나 ‘설치’ 버튼을 클릭하여 설치해주세요. ❸ SD 카드 리더기에 ‘SD 카드’를 끼우고 리더기를 컴퓨터의 USB 단자에 연결합니다. SD 카드 리더기를 내장한 노트북이라면 SD 카드를 바로 장착합니다. ❹ 라즈베리 파이 이미저(Raspberry Pi Imager)를 실행해주세요. ❺ 사용할 운영 체제를 선택합니다. ‘라즈베리 파이 OS(Raspberry Pi OS)’를 설치하려면 맨 위에 있는 Raspberry Pi OS를 선택해주세요. 우분투 마테(Ubuntu Mate)나 만자로 리눅스(Manjaro Linux) 등 다른 운영 체제를 설치하려면 맨 아래 쪽에 위치한 Use custom(사용자 지정) 항목을 클릭한 다음에 운영 체제의 설치 이미지(.img / .zip / .gz…)를 선택해줍니다. ‘라즈베리 파이 OS’ 말고도 라즈베리 파이에 최적인 운영 체제가 20가지나 더 있습니다. 직접 한 번 시험해보세요! ❻ 프로그램 창 중앙의 CHOOSE SD CARD 버튼을 클릭한 후 운영 체제를 설치할 SD 카드를 선택하세요. ❼ 마지막으로 WRITE 버튼을 클릭합니다. 모든 과정이 끝날 때까지 기다려주세요.

라즈베리 파이 OS 첫 사용 설정

SD 카드에 라즈베리 파이 OS를 문제 없이 설치하셨다면 컴퓨터에서 분리한 다음에 라즈베리 파이에 끼워주세요. 초록색 기판에서 ‘SD CARD’라고 인쇄된 부분이 SD 카드를 넣는 부분입니다. 이제 전원을 연결하고 잠시 기다리면 라즈베리 파이 OS가 마침내 모습을 드러냅니다. 화면 중앙을 보면 간단한 사용 설정을 안내할 ‘Welcome to Raspberry Pi’ 창이 열려있는데요. Next(다음) 버튼을 눌러주세요.

아래 모습처럼 Set Country(국가 설정) 화면이 나오는데요. Country(국가)는 United Kingdom(영국)을 선택하고 Language(언어)는 British English(영국 영어)를 선택해주세요. 선택하셨다면 Next 버튼을 누릅니다. 여기서 ‘국가’를 ‘영국’으로 선택하는 이유는 두 가지가 있습니다.

첫 번째 이유는 ‘국가’로 South Korea(한국)을 선택하면 재시작 이후에 메뉴나 바탕 화면 휴지통 아이콘을 비롯한 모든 곳의 글자가 외계어로 깨져 보이기 때문이고요.

두 번째 이유는 라즈베리 파이 3 B나 그 이전 파이의 경우 Wi-Fi 연결에 문제가 생기기 때문입니다. ‘국가’를 선택하면 국가별 ‘Wi-Fi 주파수 신호 범위’ 설정도 함께 불러오는데, 라즈베리 파이 3 B와 그 이전 파이의 Wi-Fi 칩셋에 대한 한국 지역 ‘주파수 범위’ 설정에 문제가 있다고 합니다.

이로 인해 ‘파이 3 B’에서 South Korea를 선택하면 Wi-Fi 접속 지점(AP) 이름도 뜨지 않고 당연히 Wi-Fi 연결도 불가능합니다. 따라서 Wi-Fi에 정상적으로 연결하려면 United Kingdom을 선택해야 하네요. ‘파이 3 B+, 4’도 동일한 문제가 있었는데 지금은 해결한듯 합니다.

다음으로는 기본 계정인 ‘pi’의 암호를 설정하는 화면이 나오는데요. 기본 암호는 ‘raspberry’로 설정되어 있고요. 보안을 위해 반드시 암호를 설정하시길 권해 드립니다. Enter new password(새 암호 입력)에 암호를 입력하시고 Confirm new password(새 암호 확인)에 동일한 암호를 한 번 더 입력한 다음 Next 버튼을 눌러주세요.

이제 ‘Wi-Fi 연결’ 화면이 나옵니다. 연결할 ‘Wi-Fi 이름’을 선택하고 ‘암호’를 입력한 다음에 Next 버튼을 눌러주세요.

다음으로는 ‘라즈베리 파이 OS’의 업데이트를 확인하는 화면이 나옵니다. Skip 버튼을 눌러 지금은 업데이트를 건너 띄고 나중에 업데이트를 확인할 수도 있고요. Next 버튼을 클릭하여 업데이트 확인과 설치를 진행할 수도 있는데요. ‘Next’ 버튼을 눌러 업데이트를 확인하면 업데이트 확인과 다운로드에 상당한 시간이 걸릴 수 있으니 참고해주세요.

이렇게 해서 첫 기본 설정이 끝났습니다. 방금 전 ‘Update Software(소프트웨어 업데이트)’ 화면에서 Skip을 누르셨다면 아래와 같이 설정 완료 화면이 나오고요. Done(마침) 버튼을 눌러 주시면 됩니다!

‘Update Software’ 화면에서 Next 버튼을 클릭하여 업데이트 설치를 진행하신 경우 아래처럼 두 가지 버튼을 표시합니다. 파이를 나중에 다시 시작하려면 Later(나중에) 버튼을 누르시고요. 파이를 다시 시작하여 업데이트의 변경 사항을 적용하려면 Restart(다시 시작) 버튼을 클릭해주세요!

‘대한민국’ 시간대로 변경

앞서 ‘초기 설정’ 과정에서 ‘두 가지 문제’를 피하기 위해서 국가를 ‘영국’으로 설정했습니다. 시스템의 시간도 ‘영국 시간’을 표시하는데요. 한국 시간을 표시하도록 설정을 변경해보겠습니다!

좌측 상단 모서리의 ‘라즈베리 로고 버튼’을 눌러 메뉴를 열고 Preferences(설정) > Raspberry Pi Configuration(라즈베리 파이 설정) > Localisation(현지화)를 선택하여 설정 창을 열고요. Set Timezone(시간대 설정) 버튼을 누른 다음에 Asia, Seoul을 선택하고 OK, OK 버튼을 클릭해주세요.

이제 파이를 다시 시작하여 변경한 설정을 적용하면 시스템이 시간을 ‘한국’ 시간으로 정상적으로 표시합니다.

한글 표시와 입력을 위해 – 한글 폰트와 입력기 설치

라즈베리 파이 OS는 기본적으로 ‘한글 폰트’와 ‘한글 입력기’를 설치하지 않습니다. 이 때문에 설치 직후에는 시스템이나 인터넷 웹 사이트의 한글이 깨져 나오고, 한글 입력도 할 수가 없는데요. 아래에서 살펴볼 간단한 명령어로 한글 폰트와 입력기를 설치해줘야 합니다.

먼저, Ctrl + Alt + T 키를 눌러 터미널을 열고요. 아래 명령을 실행하여 한글 폰트를 설치합니다.

sudo apt install fonts-nanum [명령어 복사]

이제 화면 상단의 ‘지구본’ 모양 아이콘을 클릭하여 크로미움(Chromium) 웹 브라우저를 열고 국내 사이트를 방문해보면 한글이 깨지지 않고 문제 없이 표시됨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다음으로 한글 입력기를 설치해볼까요. 터미널에 아래 명령어를 입력하고 엔터 키를 눌러 한글 입력기를 설치합니다. 한 번에 한 줄씩! 순차적으로 실행해주세요! 혹시 명령 실행 후에 정말 설치를 원하는지 물으면 y를 입력한 다음에 엔터 키를 눌러주세요.

실행하셨다면 파이를 다시 시작해주시고요. 재시작 후에는 ‘파이 로고’ > Preferences > Fcitx Configuration 순서로 클릭해주세요.

‘Input Method Configuration’ 입력 설정 창이 열리면 좌측 하단의 [+] 버튼을 클릭한 다음에 Only Show Current Language의 체크를 풀고 하단의 검색창에 hangul을 입력합니다. 목록에 Hangul 항목이 보이면 클릭하여 선택한 다음에 OK 버튼을 눌러 추가해주세요.

이렇게 해서 한글을 입력할 수 있게 됐습니다! 영어 입력 상태에서 Ctrl + Space 키를 눌러 한/영 전환을 하면? 마침내 한글을 입력할 수 있습니다!

기본 한/영 전환키인 Ctrl + Space를 다른 키 조합으로 변경하려면, 앞서 본 ‘Fcitx 설정’ 창의 Global Config 탭에서 Trigger Input Method 부분의 ‘Ctrl+Space’ 버튼을 클릭한 다음에 새 한/영 키 조합을 눌러주면 바뀝니다. 아쉽게도 키보드의 ‘한/영’키는 지정이 안 되네요.

또 하나의 설치 방법 NOOBS로 설치하는 방법

NOOBS(New Out Of the Box Software)는 라즈베리 파이 첫 시작 시에 사용하고자 하는 운영 체제를 선택하면 SD 카드에 설치해주는 프로그램인데요. 기본적으로 SD 카드에 운영 체제 설치에 필요한 파일을 모두 미리 저장해 놓은 다음, 사용자가 원하는 운영 체제를 선택하면 그 후에 운영 체제를 설치하는 방식을 활용합니다.

‘라즈베리 파이 이미저(Raspberry Pi Imager)’는 컴퓨터에서 SD 카드에 파이 OS를 설치하는데요. ‘NOOBS’는 라즈베리 파이에서 SD 카드에 파이 OS를 설치합니다. 이로 인해 이미저로 설치할 때보다는 속도가 다소 느린 편이고요. 직접 SD 카드를 포맷하고 파일을 복사해야 하는데요. 그럼에도 파이 OS 설치 방법으로 선호하는 사람이 여전히 많은 방법이기도 합니다.

❶ NOOBS .Zip 압축 파일을 다운로드합니다. 링크를 열고 다운로드 페이지에서 Download ZIP 버튼을 클릭해주세요. ❷ 평소 사용하는 압축 프로그램으로 .Zip 파일의 압축을 풀어주세요. 저는 ‘반디집’을 주로 사용합니다. ❸ ‘SD 카드’를 ‘FAT32’ 파일 시스템 형식으로 포맷합니다. 윈도우는 FAT32 형식으로 최대 32GB까지만 포맷이 가능합니다. 따라서 SD 카드의 용량이 32GB 이상이라면 ‘라즈베리 파이 이미저’로 포맷을 진행해야 합니다. SD 카드를 컴퓨터에 꽂은 다음에 ‘파이 이미저’를 실행하고요. CHOOSE OS 클릭 > Erase 선택 > CHOOSE SD CARD 클릭한 후 SD 카드 선택 > Write 버튼 클릭 순서로 진행하여 SD 카드를 포맷해주세요. ❹ NOOBS의 .Zip 압축 파일을 풀고, SD 카드도 포맷하셨나요? 이제 압축을 해제한 NOOBS 폴더 안에 있는 모든 파일을 SD 카드로 복사해주세요. 이 때, NOOBS 폴더가 아닌 폴더 안의 파일만 복사해주셔야 합니다. ❺ 컴퓨터에서 SD 카드를 꺼낸 다음에 라즈베리 파이에 꽂습니다. 이제 라즈베리 파이에 전원을 연결하여 켜주세요. ❻ 아래와 같은 화면이 나오죠? 마지막으로 목록에서 설치하려는 운영 체제를 체크하여 선택합니다. 맨 위에 있는 라즈베리 파이 OS를 선택하면 되겠죠? 선택하셨다면 Install(설치) 버튼을 클릭합니다. ❼ NOOBS가 라즈베리 파이 OS의 설치를 끝마칠 때까지 기다려주세요. 설치를 마치면 라즈베리 파이 OS로 부팅합니다. 마침내 라즈베리 파이를 자유롭게 활용하는 일만 남았네요.

+보너스! 모니터, 키보드 없이 사용하는 방법

모니터나 키보드, 마우스가 없어도 라즈베리 파이를 사용할 수 있다는 사실, 알고 계셨나요? 라즈베리 파이에 ‘원격 접속’을 설정해두면 컴퓨터, 스마트폰, 태블릿에서 원격으로 연결하여 파이를 사용할 수 있는데요. 아래에서 라즈베리 파이를 모니터나 키보드 없이도 사용할 수 있도록 설정하는 방법을 살펴보겠습니다!

1. SD 카드에 라즈베리 파이 OS 설치

본문의 ‘이미저’ 사용 방법에 나온 내용대로 진행하여 SD 카드에 라즈베리 파이 OS를 설치해주세요.

2. 원격 로그인을 위해 ‘ssh’ 기능 켜기

‘ssh’ 기능은 도스창과 유사한 콘솔 명령창에서 파이에 원격으로 연결하여 각종 프로그램이나 명령어를 실행할 수 있는 기능인데요. 라즈베리 파이에 VNC로 연결해서 마우스로 원격 조정을 하려면 관련 설정 작업이 필요하고요. 이 설정 작업을 하려면 먼저 ssh 기능을 켜야 합니다.

ssh 기능을 켜는 방법은 생각 보다 간단한데요. SD 카드의 최상위 루트에 확장자 없이 ssh라는 빈 파일을 만들면 모든 과정이 끝입니다. SD 카드를 컴퓨터에 삽입한 채로 아래 내용대로 따라해보세요!

윈도우(Windows)에서는 이렇게 하세요.

❶ 윈도우 로고 + E 키를 눌러 파일 탐색기를 열고요. 상단 리본 메뉴의 보기 > 파일 확장명을 선택하여 파일의 확장자를 표시하도록 설정합니다. ❷ 파이 OS를 설치한 SD 카드의 최상위 루트로 이동한 다음에 마우스 오른쪽 버튼을 클릭하고 새로 만들기 > 텍스트 문서를 선택합니다. ❸ 파일 생성 후 이름 변경 상태가 되면 확장자인 .txt와 이름을 다 지운 다음에 ssh만 입력하고 엔터 키를 눌러주세요. ‘파일의 확장명을 변경하면 사용할 수 없게 될 수도 있다’는 알림 창이 뜨면 예를 선택합니다! 이렇게 해서 SD 카드의 최상위에 ssh 파일을 만들면? 파이의 ssh 기능이 켜집니다! 😊

맥 OS(macOS)에서는 이렇게 합니다.

응용 프로그램 > 유틸리티 폴더에 있는 터미널을 열고 아래의 명령을 실행해주세요! touch /Volumes/boot/ssh [명령어 복사]

리눅스(Linux)에서는 이렇게 하세요.

❶ Ctrl + Alt + T 키를 누르거나 프로그램 실행 메뉴를 열고 터미널을 실행해주세요. ❷ 터미널 창에 lsblk [명령어 복사] 라고 입력한 후 엔터 키를 눌러 명령을 실행합니다. ❸ 명령 실행 후 출력 결과의 NAME 열에서 /dev/mmcblk0p1이나 /dev/mmcblk1p1과 같은 형태의 내용이 적힌 줄이 보이시나요? 해당 장치가 바로 ‘SD 카드’ 입니다. NAME MAJ:MIN RM SIZE RO TYPE MOUNTPOINT /dev/mmcblk0p1 259:0 0 16G 1 disk /media/ubuntu/sd_card ❹ ‘SD 카드’의 MOUNTPOINT 부분에 나온 내용을 확인해주세요. SD 카드의 최상위 루트 경로입니다. ❺ 아래 명령을 실행해주세요! touch [MOUNTPOINT 부분에 표시된 경로] 예를 들어서 MOUNTPOINT에 나온 SD 카드의 최상위 경로가 /media/ubuntu/sd_card라면 아래와 같이 명령어를 입력하고 실행합니다! 예) touch /media/ubuntu/sd_card

3. ‘Wi-Fi 자동 연결’을 위해 연결 지점 이름(SSID)과 암호 정보 추가

SD 카드 최상위에 wpa_supplicant.conf라는 이름의 파일을 만든 다음에 아래의 내용을 복사 – 붙여 넣기 – 저장만 하면 끝입니다. ‘Wi-Fi 접속 지점 이름’과 ‘암호’ 부분은 실제 연결할 Wi-Fi의 이름과 암호로 바꿔주셔야 하고요.

이렇게 Wi-Fi 연결 정보를 담은 파일을 만들면 라즈베리 파이가 부팅 이후 Wi-Fi에 자동으로 로그인하여 연결합니다. 원격 연결할 준비가 끝나는 셈이죠. 자세한 적용 방법은 아래와 같습니다.

윈도우(Windows)에서는 이렇게 하세요.

❶ 윈도우 로고 + R 키를 눌러 실행 창을 엽니다. 그 후 notepad라고 입력하고 엔터 키를 눌러 메모장을 실행하세요. ❷ 위에 있는 ‘파일 내용 복사’를 클릭한 다음에 메모장에 Ctrl + V 키로 붙여넣으시고요. ssid와 psk의 값을 실제 Wi-Fi의 연결 지점 이름과 암호로 변경해줍니다. ❸ Ctrl + S 키를 누른 다음에 파일 형식으로 모든 파일을 선택하고 파일 이름으로 wpa_supplicant.conf를 입력한 다음에 SD 카드 최상위에 저장해주세요.

맥 OS(macOS)에서는 이렇게 합니다.

❶ 응용 프로그램 > 유틸리티 폴더에 있는 터미널을 열고 아래 명령을 실행합니다. nano /Volumes/boot/wpa_supplicant.conf [명령어 복사] ❷ [이 링크]를 클릭한 다음에 ⌘커맨드(Command) + V 키로 터미널 창의 편집 화면에 붙여 넣습니다. ❸ ‘Wi-Fi 이름’과 ‘암호’를 실제 Wi-Fi 이름과 암호로 변경한 다음에 Ctrl + O, 엔터 키, Ctrl + X 키를 순서대로 눌러주세요.

리눅스(Linux)에서는 이렇게 하세요.

❶ Ctrl + Alt + T 키를 눌러 터미널을 열고 lsblk를 입력한 다음에 엔터 키를 눌러 실행합니다. ❷ 출력 결과에서 /dev/mmcblk0p1이나 /dev/mmcblk1p1과 같은 형태의 내용이 적힌 줄의 MOUNTPOINT 부분에 나온 값을 확인해주세요. ❸ 아래 명령을 실행합니다. nano [MOUNTPOINT 부분의 값(SD 카드의 최상위 경로)]/wpa_supplicant.conf [명령어 복사] ❹ [이 링크]를 클릭한 다음에 Shift + Insert 키로 터미널 창의 편집 화면에 붙여 넣습니다. ❺ ‘Wi-Fi 이름’과 ‘암호’를 실제 Wi-Fi 이름과 암호로 변경한 다음에 Ctrl + O, 엔터 키, Ctrl + X 키를 순서대로 눌러주세요.

4. ssh로 파이에 원격 접속

앞서 살펴본 과정을 통해 ‘ssh’ 기능을 켜고 ‘Wi-Fi 자동 접속’도 설정하셨다면? 이제 파이에 원격으로 접속할 차례입니다! 컴퓨터에서 SD 카드를 분리한 후 라즈베리 파이에 삽입하고요. 파이에 전원을 연결한 다음 부팅이 끝날 때까지 잠시 기다립니다. 약 90초 정도 기다리신 후에 아래 과정대로 진행해주세요.

덧붙여서 파이와 컴퓨터/노트북은 동일한 Wi-Fi 접속 지점/공유기에 연결한 상태여야 합니다. 진행하기 전에 꼭 확인해보시기를 바랍니다!

윈도우(Windows)에서는 이렇게 하세요.

❶ 파이에 ‘IP 주소’로 연결하려면 IP 주소를 확인하는 과정이 필요해서 불편함이 있는데요. ‘raspberrypi.local’과 같은 형태의 ‘이름(호스트 이름)’으로 연결하면 파이의 IP 주소를 따로 확인하지 않아도 되기 때문에 편합니다. 윈도우에서 파이의 ‘이름(호스트 이름)’으로 연결하려면 애플의 Bonjour 프로그램을 설치해야 합니다. 애플의 공식 홈페이지에서 Bonjour를 다운로드한 다음에 설치해주세요. ❷ 파이에 ssh 원격 접속할 때 사용할 프로그램인 PuTTY를 설치합니다. 다운로드 페이지의 MSI (‘Windows Installer’) 부분에서 64비트(64-bit) 버전을 다운로드한 다음 설치해주세요. ❸ PuTTY를 실행하시고요. Host Name(호스트 이름)에 raspberrypi.local [클릭하여 복사]을 입력한 다음에 Open(열기) 버튼을 클릭해주세요. ❹ 보안 알림(PuTTY Security Alert) 창이 뜨면 예(Yes)를 클릭합니다. ❺ 드디어 로그인 화면이 나오는군요. 아이디에 해당하는 login as: 에는 pi를 입력한 다음 엔터 키를 누르시고요. 암호(…password:)로는 raspberry를 입력하고 엔터 키를 눌러주세요. 이렇게 해서 마침내 파이 원격 연결에 성공했습니다! 명령어를 자유롭게 실행하며 라즈베리 파이에서 필요한 작업을 할 수 있게 됐네요.

맥 OS(macOS)에서는 이렇게 합니다.

❶ 응용 프로그램 > 유틸리티 폴더에 있는 터미널을 열고 아래 명령을 실행합니다. 한 줄씩 순서대로 실행해주세요. ssh-keygen -R raspberrypi.local [명령어 복사]

ssh [email protected] [명령어 복사] ❷ 두 번째 명령어를 실행한 후 1분이 넘도록 기다려도 별다른 반응이 없을 경우 ‘Ctrl + C’ 키를 눌러 명령어를 실행 중지한 다음에 ssh [email protected] 명령어를 다시 한 번 실행해주세요. ❸ 보안 알림 메시지가 표시되면 엔터 키를 눌러 기본 값인 Yes를 선택해주세요. ❹ 암호를 입력한 다음 엔터 키를 누릅니다. 기본 암호는 raspberry 입니다.

리눅스(Linux)에서는 이렇게 하세요.

❶ Ctrl + Alt + T 키를 눌러 터미널을 열고 다음 명령을 실행합니다. ssh [email protected] [명령어 복사] ❷ 명령어를 실행한 후 1분이 넘도록 기다려도 별다른 반응이 없을 경우 ‘Ctrl + C’ 키를 눌러 명령어를 실행 중지한 다음에 ssh [email protected] 명령어를 다시 한 번 실행해주세요. ❸ 보안 알림 메시지가 표시되면 엔터 키를 눌러 기본 값인 Yes를 선택해주세요. ❹ 암호를 입력한 다음 엔터 키를 누릅니다. 기본 암호는 raspberry 입니다.

명령어 환경이 아닌 바탕 화면과 메뉴를 클릭하며 마우스로 원격 조종을 하려면 파이에 VNC 기능을 켜야 합니다. 아래에서 그 방법을 살펴보겠습니다!

5. 마우스 원격 조종을 위한 ‘VNC 기능’ 켜기

바탕 화면, 아이콘이 보이는 그래픽 환경에서 마우스로 파이를 원격 제어하려면 ‘VNC 기능’을 켜줘야 하는데요. raspi-config 명령으로 VNC 기능을 켤 수 있습니다. 윈도우라면 PuTTY로 파이에 접속한 상태에서, 맥OS나 리눅스라면 ssh 명령으로 파이에 원격 접속한 상태에서 아래의 과정을 순서대로 따라해보세요!

❶ PuTTY 혹은 터미널 창의 ssh 명령으로 파이에 접속한 상태에서 아래 명령을 실행해주세요. 설정 프로그램이 열립니다. sudo raspi-config [명령어 복사] ❷ 화살표 키로 빨간색 선택 막대를 이동하여 5번 Interfacing Options를 선택하고 엔터 키를 눌러 다음 화면으로 진행합니다. ❸ 3번 항목인 VNC를 선택한 다음에 엔터 키를 누릅니다. ❹ VNC 기능을 켤지 묻는 화면이 나오면 Yes를 선택해주세요. ❺ ‘VNC 기능 켜기’가 성공적이었다는 메시지가 나오네요. 엔터 키를 누릅니다. ❻ 마지막으로 Finish 항목을 선택하고 엔터 키를 눌러 프로그램을 종료합니다.

6. ‘VNC 연결 오류’ 방지를 위해 ‘기본 해상도’ 지정

초기에만 해도 이런 문제가 없었는데요. 파이 OS의 특정 업데이트 이후부터 문제가 생겼습니다. 파이에 모니터를 연결하지 않고 VNC로 그냥 접속하면 ‘Cannot currently show the desktop(현재 데스크톱을 표시할 수 없다)’는 오류 메시지가 나오고 화면이 표시되질 않네요.

이 문제를 방지하려면 라즈베리 파이에 ‘기본 해상도’를 지정해줘야 합니다. 아래 순서대로 진행해보세요.

❶ PuTTY 혹은 터미널 창의 ssh 명령으로 파이에 접속한 상태에서 아래 명령을 실행해주세요. 설정 프로그램이 열립니다. sudo raspi-config [명령어 복사] ❷ 7 Advanced Options를 선택하고 엔터 키를 누르세요. ❸ 마찬가지로 A5 Resolution을 선택하고 엔터 키를 눌러주세요. ❹ 마침내 해상도를 선택할 때가 왔네요. 기본값(예: 1024×768)을 제외한 나머지 해상도 가운데 하나를 선택해주세요. ❺ Ok 항목을 선택하고 엔터 키를 누릅니다. ❻ 마지막으로 Finish 항목을 선택하고 엔터 키를 누르시고요. 파이를 다시 시작할지 물으면 (Would you like to reboot now?) Yes를 선택 후 엔터를 눌러주세요!

7. VNC Viewer로 원격 제어

이제 VNC 뷰어(Viewer)를 사용해 라즈베리 파이를 마우스로 원격 조종해볼까요? 공식 다운로드 페이지에서 현재 사용하고 있는 컴퓨터, 노트북, 스마트폰, 태블릿의 운영 체제에 맞는 설치 파일을 다운로드 받은 다음 설치해주세요.

이제 윈도우, 리눅스, 맥 OS라면 아래와 같이 진행합니다.

❶ VNC Viewer 프로그램을 실행한 다음에 File > New connection을 선택해주세요. ❷ VNC Server 입력 부분에 raspberrypi.local [주소 복사]이라고 입력한 후 OK 버튼을 누릅니다. ❸ 라즈베리 파이 원격 연결을 위해 방금 생성된 raspberrypi.local 아이콘을 더블 클릭합니다. ❹ 보안 알림 창이 뜨면 OK 버튼을 눌러주세요. ❺ 아래와 같이 로그인 창이 뜨면 파이의 계정과 암호를 입력합니다. 따로 변경하지 않으셨다면 기본 계정(Username:)은 pi이고, 암호(Password:)는 raspberry 입니다. 입력한 후에 OK 버튼을 눌러주세요. ❻ 화면에 파이 OS의 바탕 화면이 모습을 드러냅니다. 컴퓨터, 노트북의 키보드, 마우스로 원격 제어하며 마음껏 활용하는 일만 남았네요!

스마트폰, 태블릿에서는 이렇게 연결합니다.

❶ 스토어에서 설치한 VNC Viwer 앱을 열고 우측 상단 모서리에 있는 [+] 버튼을 터치합니다. ❷ Address 부분에 raspberrypi.local을 입력하고 Name에 Raspberry Pi를 입력한 다음 우측 상단의 Save 버튼을 터치합니다. ❸ Connect 버튼을 터치하세요. ❹ 보안 알림 화면이 뜨면 OK를 터치하시고요. 로그인 화면이 나오면 계정 아이디로는 pi를 입력하고 암호로는 raspberry를 입력한 다음에 OK를 터치해주세요. 잠시 후 라즈베리 파이의 바탕 화면이 모습을 드러냅니다.

라즈베리 파이 OS 설치 문제가 생긴다면?

라즈베리 파이 OS 설치 중에 문제가 생기더라도 크게 걱정하실 필요는 없습니다. SD 카드를 잠깐 포맷한 다음에 다시 설치하면 되니까요. 웬만해서는 ‘실수 때문에 고장나지 않을까?’ 하고 우려할 일은 없으리라 생각합니다.

문제가 발생하면 SD 카드가 올바르게 장착되어 있고 전원 어댑터의 전압과 전류량이 적합한지 확인해보세요. 라즈베리 파이 3 B+(Raspberry Pi 3 B+)의 ‘권장’ 전류와 전압은 5V/2.5A이고요. 라즈베리 파이 4 B는 5V/3.0A 입니다. 모든 파이의 권장 전류/전압은 공식 홈페이지에 잘 정리되어 있네요. HDMI 케이블은 왼쪽 편의 첫 번째 단자에 잘 연결되어 있는지, 파이 OS는 최신 버전인지도 확인해보시기를 바랍니다.

라즈베리 파이 OS(Raspberry Pi OS) 설치가 반복적으로 실패할 경우 라즈베리 파이 OS 라이트(Raspberry Pi OS Lite) 버전을 설치해보는 방법도 있습니다.

파이를 활용하면서 막히거나 잘 되지 않는 부분은 구글에 검색해보세요. 직접 부딪히면서 해결한 과정과 방법을 공유한 사람이 생각 보다 많네요. 라즈베리 파이 활용을 본격적으로 시작하고 보니 다른 사람의 경험과 지식을 참고하는 과정이 필수인 듯 합니다.

라즈베리 파이에 ‘라즈베리 파이 OS’를 설치하셨다면 모든 준비는 끝났습니다. 생각 보다 광범위한 활용이 가능한데요. 라즈베리 파이를 ‘무선 공유기’나 ‘웹 서버’로 변신시킬 수도 있고, ‘고전 게임 콘솔’로 활용할 수도 있습니다. 파이의 재미있고 다양한 활용 방법은 이후 이어질 글에서 하나씩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

라즈베리파이OS 설치하기

라즈베리파이OS는 라즈베리파이재단에서 개발한 라즈베리파이 전용 OS로 데비안 리눅스를 기반으로 합니다. 2019년까지는 라즈비안이라고 불렸습니다.

라즈베리파이OS는 설치가 쉬운 편이지만 작년에 라즈베리파이 이미저(Raspberry Pi Imager)라는 프로그램이 나오면서 설치가 더욱 간단해졌습니다.

여기서는 이미저를 통해 라즈베리파이OS를 설치해보겠습니다.

1. 이미저 다운로드 아래 사이트에서 운영체제에 맞는 이미저를 다운로드 합니다. -> https://www.raspberrypi.com/software/

2. 이미저 설치 다운로드 받은 파일을 설치합니다. 더블클릭

3. SD카드 연결 SD카드 리더기를 통해 컴퓨터에 SD카드를 연결합니다. 저는 예제로 사용하기 위해 굴러다니던 8기가 sd카드를 사용했는데 16기가 이상의 SD카드를 사용하길 권장합니다.

cf) 다이소에 마이크로 SD 리더기도 있네요.(64기가까지 인식)

4. 운영체제 선택 CHOOSE OS를 눌러 OS를 선택합니다. 여기서는 맨 위에 Raspberry Pi OS(32-bit)를 선택합니다.

5. 저장장치 선택 CHOOSE STORAGE를 눌러 저장장치를 선택합니다.

6. 라즈베리파이OS 굽기 WRITE를 눌러 마이크로sd카드에 라즈베리파이OS를 굽습니다.

완료되면 CONTINUE를 누르세요.

7. ssh 사용 설정 보통 라즈베리파이에는 모니터와 키보드, 마우스가 연결되어 있지 않습니다. 그러므로 ssh를 통해 원격 로그인을 해야합니다.

라즈베리파이OS는 처음으로 부팅될때 루트폴더에 ssh 파일이 있는지 확인합니다.

내컴퓨터에서 라즈베리파이OS가 설치된 드라이버로 들어갑니다.

상단 보기 메뉴에 파일확장명을 체크해줍니다.

빈곳에 마우스 오른쪽을 클릭하여 새로만들기 > 텍스트문서를 클릭합니다.

확장자명까지 선택하여 ssh라는 이름으로 파일을 생성합니다. 아래와 같은 경고창이 뜨면 예를 클릭합니다.

8. 와이파이 설정 ssh 설정처럼 와이파이도 부속부품없이 설정하기 힘드므로 초기에 설정을 해줍시다.

win키 + R을 눌러 실행을 켜고 notepad를 입력하여 메모장을 엽니다.

다음 내용을 입력합니다.

country는 KR를 입력하면 와이파이 접속이 안됩니다. 주파수 문제라고 합니다.

유럽이나 미국 국가를 입력합니다. (참고로 IT는 이탈리아 ㅎ.ㅎ)

파일명은 wpa_supplicant.conf, 파일형식은 모든파일(*.*)을 선택하고 sd카드 루트폴더에 저장합니다.

이제 sd카드를 라즈베리파이에 넣고 라즈베리파이에 전원을 넣어줍니다.

9. 아이피 확인 라즈베리파이의 아이피를 확인해야합니다. 공유기마다 차이가 있기때문에 아이피확인은 설명을 생략합니다. 공유기페이지에서 고정ip로 할당하는 것이 좋습니다.

10. ssh 접속 ssh를 접속하기 위해서는 PuTTY를 많이 사용하는데 윈도우10의 경우 cmd를 통한 ssd 접속이 가능합니다.

우선 시작 > 설정 > 앱에 들어갑니다.

기능추가를 누릅니다.

ssh를 검색하여 OpenSSH 클라이언트를 설치한 후 재부팅합니다.

재부팅 후 win키 + R을 눌러 실행창을 열고 cmd를 입력하여 명령프롬프트를 엽니다.

아래 명령어를 입력합니다. ssh [email protected]주소

아래와 같은 경고가 뜨면 yes를 입력하고 엔터를 누릅니다.

초기 비밀번호는 raspberry입니다. 입력후 엔터를 누르면 라즈베리파이에 접속됩니다.

11. vcn 켜기 윈도우같은 gui 환경에 익숙해져 있는 우리에게 cli는 보기만 해도 어질어질합니다. gui 환경으로 접속하기위해 vcn을 사용할 수 있게 설정해야합니다.

아래 명령어를 입력합니다. sudo raspi-config

3 Interface Options > P3 VNC를 선택합니다.

yes > OK > Finish를 눌러 VNC 사용을 설정하고 설정창을 종료합니다.

12. VNC 접속

VNC 접속을 위한 프로그램은 종류가 많은데 저는 크롬 브라우저를 통해 vnc 접속을 하겠습니다. 첨부된 1.2.15132_0.zip 압축파일의 압축을 풉니다.

chrome://extensions/ 으로 이동합니다.

오른쪽 상단에 개발자 모드를 켭니다. 압축해제된 확장 프로그램을 로드합니다. 를 클릭합니다.

압축해제한 1.2.2.15132_0 폴더를 선택하고 폴더 선택을 클릭하면 vnc 확장프로그램이 설치됩니다.

chrome://apps/ 으로 이동하면 VNC 뷰어에 접속할 수 있습니다.

Address에 라즈베리파이의 ip주소를 입력하고 Connect를 클릭합니다. 다음과 같은 창이 뜨면 OK를 누릅니다.

User name에 pi, Password에 raspberry를 입력하고 OK를 누르면 라즈베리파이에 gui환경으로 접속됩니다.

13. 라즈베리파이 설정 초기 설정에서 계속 Next를 클릭해줍시다.

주의: Country를 South Korea로 변경하지 말고 Next 클릭하세요. 와이파이 끊어집니다.

암호 설정

와이파이는 미리 설정했기때문에 손대지말고 Next 클릭

업데이트(Skip 가능) – 시간이 다소 걸립니다. 업데이트는 와이파이보다 랜선을 연결하여 실행할 것을 추천합니다.

Done을 클릭하여 완료합니다.

14. 한글 설정

Menu > Preferences > Raspberry Pi Configuration을 클릭합니다.

Localisation을 클릭합니다.

set Locale…을 클릭하여 Language는 ko (Korean)를 선택하고 OK를 클릭합니다.

set Timezone…을 클릭하여 Area는 Asia, Location은 Seoul을 선택하고 OK를 클릭합니다.

set keyboard…을 클릭하여 Model은 Generic 105-key PC(intl.), Layout은 Korean, Variant는 Korean (101/104 key compatible)을 선택하고 OK를 클릭합니다.

설정창을 닫으면 재부팅하라는 알림이 뜹니다. Yes를 눌러 재부팅합니다.

재부팅하면 한글이 깨져나옵니다. 한글폰트가 없어서 그렇습니다. 한글폰트를 설치합시다.

상단 터미널 아이콘을 클릭하여 터미널을 열어줍니다.

터미널에 다음 명령어를 입력합니다. 나눔폰트를 설치합니다. sudo apt install fonts-nanum

다음 명령어를 입력하여 재부팅합니다. sudo reboot

15. 업데이트 터미널을 열고 다음 명령어를 입력하여 업데이트 상태를 확인합니다. sudo apt update

다음 명령어를 입력하여 업데이트 합니다. sudo apt upgrade

업데이트 하겠냐는 알림이 나오면 y를 입력하여 설치를 계속합니다.

Raspberry Pi OS – Raspberry Pi

Install Raspberry Pi OS using Raspberry Pi Imager

Raspberry Pi Imager is the quick and easy way to install Raspberry Pi OS and other operating systems to a microSD card, ready to use with your Raspberry Pi. Watch our 45-second video to learn how to install an operating system using Raspberry Pi Imager.

Download and install Raspberry Pi Imager to a computer with an SD card reader. Put the SD card you’ll use with your Raspberry Pi into the reader and run Raspberry Pi Imager.

Raspberry PI에 OS 설치하기 (Raspbian) – Step 1

1. 이전 주소로 외부에 공유된 글은

3개월간 새로운 주소로 연결을 지원하며

이후 언제든 연결이 끊길 수 있습니다.

2. 블로그 아이디는 한번 변경하면

다시 변경이 불가능합니다.

변경하시겠습니까?

라즈베리파이에 OS(Raspberry Pi OS) 설치하기

오늘은 내가 가지고 있는 라즈베리파이3에 라즈베리파이 OS를 설치해볼 것이다.

# 준비물

라즈베리파이 microSD 카드 (Lite 사용시 4 GB 이상, Desktop 또는 Recommned S/W 사용시 8 GB 이상, 모든 S/W 설치시 16 GB 이상) microSD 리더기 (PC와 연결을 위함) Micro USB 5 Pin 케이블과 어댑터 (5V 1A 이상, 스마트폰 충전기로 대체 가능) HDMI 케이블 HDMI 지원 모니터 USB 키보드, 마우스

왼쪽부터 충전기, 라즈베리파이, microSD카드, 멀티 리더기, HDMI 케이블

# microSD 카드에 OS를 설치하기 위한 Raspberry Pi Imager 설치

과거엔 Win32DiskImager라는 툴로 구웠는데 이제는 자체적으로 소프트웨어를 제공한다!

https://www.raspberrypi.org/software/

다운로드 페이지에 접속한 다음, [Download for Windows] 버튼을 클릭하여 설치 프로그램을 다운로드 받은 다음에 설치를 해준다.

물론 맥이나 리눅스 사용자는 그 아래에 있는 옵션을 통해 설치를 해야한다.

설치가 완료되면 프로그램이 잘 있는지 확인해준다.

윈도우 시작메뉴에 등록된 Raspberry Pi Imager

# Raspberry Pi Imager를 사용하여 microSD 카드에 OS 설치하기

먼저 microSD 리더기에 microSD 카드를 꽂고, 컴퓨터에 연결해준다.

그 후 설치한 Raspberry Pi Imager를 실행해준다.

[CHOOSE OS] 버튼을 눌러준다.

운영체제 목록이 나타나면 설치할 운영체제를 선택한다. (프로그램이 다운로드하여 설치해준다.)

만약 자신이 외부에서 받은 운영체제가 있다면 최하단에 있는 [Use custom]을 눌러 이미지 파일을 직접 선택할 수도 있다.

* 이미지 파일을 직접 받으셨다면 꼭 이미지 파일이 맞는지 확인하자. 사진에는 .ZIP 으로 되어있지만 .IMG 등 이미지 파일이 선택되어야한다. (아래에 시행착오 있음)

사신처럼 선택한 OS 또는 파일 이름으로 버튼의 텍스트가 변경된다.

다음으로 프로그램 중앙에 위치한 [CHOOSE STORAGE] 버튼을 클릭한 다음 설치할 microSD 카드 장치를 선택한다.

스토리지 선택이 완료되었다면 [WRITE] 버튼을 누른다.

microSD 카드에 저장된 모든 데이터가 삭제된다는 경고가 나오고 [YES]를 누르면 기록이 시작된다.

준비 단계, 쓰기 단계, 검사 단계를 거친다.

다운로드가 필요한 경우 인터넷 속도 또는 microSD나 리더기의 성능에 따라 걸리는 시간이 상이하다.

준비(Preparing), 기록(Writing), 검사(Verifying)

설치가 완료된다면 아래처럼 Successful 메시지가 나타난다.

이제 microSD 카드에 운영체제 설치가 끝난 것이므로 microSD 카드를 컴퓨터와 리더기로부터 제거해도 된다.

그리고 성공 메시지가 출력됨과 동시에 간혹 윈도우에서 아래 사진과 같이 포맷을 물어보는 화면이 나올 수도 있는데 취소를 눌러야한다.

왜냐하면 microSD에 설치된 운영체제가 윈도우에서는 읽을 수 없는 형식(=Format =파일 시스템)으로 기록되기 때문에 윈도우는 자신이 읽을 수 있는 형식(Format)으로 포맷(Format)해야 한다고 알려주는 것이다.

# 시행착오 – 이미지 파일을 수동으로 적용할땐 압축을 풀자

쓰기 도중에 아래와 같은 오류가 발생했었다.

“Error writing to storage”

오류 메시지가 정확한 원인을 알려주진 않기에 다양한 생각을 할 수 밖에 없는 상황이였다.

“리더기가 불량인가?”, “microSD 카드가 불량인가?”, “이미지 파일이 깨졌나?” 등등…

알고보니 압축 파일(ZIP)을 그대로 골라서 그런 것이였다. (할 말을 잃어버림……)

압축을 풀고하니 잘 된다!

(위쪽 사진을 보면 ZIP으로 한 기록이….)

# 라즈베리파이 부팅

라즈베리파이에 전원, HDMI, USB 키보드/마우스, microSD 카드를 꽂아준다.

이더넷 포트(LAN 포트)가 존재하므로 유선 인터넷을 사용하고 싶다면 LAN 케이블을 연결하면 된다.

그 후 HDMI 반대편은 모니터에 꽂아주고, 전원을 꽂아준다.

전원을 꽂고 HDMI 또는 모니터를 연결하면 화면이 안 나오므로 무조건 전원은 마지막에 입력해야한다.

라즈베리파이가 처음 켜지면 아래처럼 알록달록한 색이 나타날 것이다.

그 후 최초 부팅시 “Resized root filesystem.”이 나타나고 어느 정도 시간이 흐른 다음 재부팅 될 것이다.

Raspberry Pi OS Desktop 의 부팅 화면은 아래와 같다.

Raspberry Pi Lite 를 설치한 경우 또는 모니터 해상도가 낮은 경우엔 라즈베리 아이콘과 글자만 주르륵 나올 것이다.

부팅이 모두 완료되면 아래처럼 바탕화면이 나타난다.

만약 Raspberry Pi OS Lite (아무튼 Desktop이 아닌 것) 을 설치했다면 “Desktop”이 없어서 즉시 터미널만 나타날 것이다. Desktop이 필요한 경우 Lite에서 Desktop을 설치할 방법을 찾거나(많이 번거롭다.), OS를 다시 설치하도록 하자.

중앙에 나타난 창에서 [Next]를 눌러 기초 설정을 간단하게 하도록 하자.

국가설정.

새로운 비밀번호 설정.

참고로 초기 사용자 이름은 pi이고 암호는 raspberry이다.

화면 설정.

화면을 모니터에 꽉 차게 맞춰준다는 것으로 해석된다.

(모니터 가장자리에 검정 테두리가 있다면.)

무선 네트워크 (Wi-Fi, 와이파이) 설정.

3분 넘게 기다리라고만 나오면 일단 Skip을 누르고 다른 설정을 해주어야 한다. (무선이다보니 국가에 따라 주파수가 달라 검색이 안 될 수도 있다.)

업데이트.

업데이트를 하고 싶다면 [Next]를 누르고, 나중에 하려면 [Skip]을 누르자.

설정 끝.

이렇게 해서 라즈베리파이에 Raspberry Pi OS 를 설치해보았다.

나중엔 이것으로 장난감?을 하나 만들어볼 계획이다.

키워드에 대한 정보 라즈베리 파이 설치

다음은 Bing에서 라즈베리 파이 설치 주제에 대한 검색 결과입니다. 필요한 경우 더 읽을 수 있습니다.

이 기사는 인터넷의 다양한 출처에서 편집되었습니다. 이 기사가 유용했기를 바랍니다. 이 기사가 유용하다고 생각되면 공유하십시오. 매우 감사합니다!

사람들이 주제에 대해 자주 검색하는 키워드 라즈베리파이 os설치에서 원격접속까지

  • 동영상
  • 공유
  • 카메라폰
  • 동영상폰
  • 무료
  • 올리기

라즈베리파이 #os설치에서 #원격접속까지


YouTube에서 라즈베리 파이 설치 주제의 다른 동영상 보기

주제에 대한 기사를 시청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라즈베리파이 os설치에서 원격접속까지 | 라즈베리 파이 설치, 이 기사가 유용하다고 생각되면 공유하십시오, 매우 감사합니다. 참조할 수 있는 기타 관련 주제: 라즈베리 파이 설치 라즈베리파이4 설치, 라즈베리파이 사용법, 라즈베리파이3 설치, 라즈베리파이 os, 우분투 라즈베리파이 설치, 라즈비안 설치, 라즈베리 파이 설치 시간, 라즈베리파이4 os 설치

See also  물레 방아 원리 | 곡식을 찧는 고도의 자동화 건축물, 물레방아의 원리 / Ytn 사이언스 220 개의 베스트 답변

Leave a Comment